- 영문명
- Factors Influencing the Recommended Sleep Duration on School Days and Non-school Days i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nalyzing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황인주(Hwang, inju)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0호, 531~54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5.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남녀 중학생의 등교일과 비등교일의 수면시간 현황과 적정 수면시간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방법 전국적으로 조사된 한국⋅아동청소년패널(2018년) 데이터를 이용하여 중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2,59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수면시간과 적정 수면시간 여부 그리고 비만도와 정서 상태에 따른 적정 수면시간 여부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교차분석과 t-test를 이용하였고, 남녀 중학생의 적정 수면시간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결과 연구 결과 등교일에 남학생의 66.8%, 여학생의 49.5%가 8시간 이상 적정 수면시간을 지키고 있었다. 남학생의 적정 수면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우울 점수와 공격성 점수였고, 여학생의 경우에는 삶의 만족도 점수와 비만도가 영향 요인으로 확인되었다.결론 본 연구로 남녀 중학생의 수면시간 현황과 적정 수면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 결과는 초기 청소년의 건강한 수면 증진 중재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current status of sleep duration and the recommended sleep duration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on school days and non-school day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90 students enrolled in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using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For data analysis, the SPSS 23.0 Program was used, frequency and percentage, crosstab and t-test were used,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whether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have the recommended sleep duration on school day and non-school day.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66.8% of male students and 49.5% of female students on the day of school slept the recommended sleep duration for more than 8 hours. Depression and aggression scores we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recommended sleep duration of male students, and life satisfaction scores and obesity were identified as influencing factors for female students. Conclusions This study was able to confirm the factors influencing the recommended sleep duration of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results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a healthy sleep promotion intervention program for early adolesc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