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ifficulties in Analyzing the Arguments of Educational University Students and how to overcome them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김재봉(Kim, Chaebong)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9권 제3호, 55~7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5.31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논증도 작성하기를 통해 논증분석 양상과, 탐색한 양상에 근거하여 논증분석을 할 때의 어려움 요인을 탐색한 다음, 그 극복 방안을 제시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여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논증분석 양상은‘결론과 보충 설명의 혼동, 결론과 이유․근거의 혼동, 주논증과 부논증의 병용, 논증분석 방법의 혼동’으로 드러났다. 둘째, ‘결론과 보충 설명의 혼동’과 관련하여 탐색된 어려움 요인은‘맥락의 활용’,‘결론과 이유․근거의 혼동’과 관련해서는‘인과관계 파악’,‘주논증과 부논증의 병용’과 관련해서는‘주논증과 부논증의 구분’,‘논증분석 방법의 혼동’과 관련해서는‘논증분석 방법’이다. 따라서 국어교육을 통해서‘맥락의 활용, 인과관계 파악, 주논증과 부논증 구분, 논증분석 방법의 훈련이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aspects of the analysis and the difficult factors of argument analysis by preparing the argument, and then suggest ways to overcome them.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presented: First, the aspects of the argument analysis were revealed as ‘confusion of conclusion and supplementary explanation, confusion of conclusion and reason, combination of main argument and by-argument, and confusion of argument analysis methods. Second, ‘the confusion of conclusion and explanation’, the challenging factors explored in relation to ‘the use of context’, ‘causal identification’ with respect to ‘the use of conclusions and reasons’, ‘distinction between main and by-discussion’ with respect to ‘the combination of main argument’, and ‘confusion in argument analysis methods’. Therefore, through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use of context, the identification of causality, the distinction between main and minor arguments, and the training of method of argument analysis’ should be carried out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검토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