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Social Identity and Investment of Learners in an Adult EFL Program
이용수 95
- 영문명
- 성인 EFL 프로그램에서 학습자의 사회적 정체성 및 투자: 한국인 학습자 3명 사례 연구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Guo, Wenyan 김정인(Kim, Jungyin)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5권 제2호, 43~5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4.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투자 이론(Norton, 1995)’을 활용하여 한국의 성인 EFL 프로그램에서 EFL 학습자의 사회적 정체성 및 투자에 대해 탐구한다. 다각화 기법을 통하여 한국인 학습자 3명이 언어 투자와 관련하여 영어 학습과 사회적 정체성을 조정하는 방식을 살펴 본다. 데이터는 2019년 10월부터 2020년 2월까지 수업 관찰, 반 구조적 인터뷰 및 EFL 프로그램 수업 출석표를 통해 수집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EFL 학습자의 정체성과 투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정되고 구축될 수 있으며 영어 학습 과정을 통해 다양화되고 변화할 수 있다. 제 2 언어 학습자로서 영어의 일상적인 언어 환경이 부족한 EFL 학습자는 학교에서 영어를 배우기 시작한다. 그 결과 학습자의 영어 학습 관련 첫 번째 사회적 정체성은 영어 시험에 대한 정체성이 되며, 다른 사회적 정체성(예: 여행자, 교사, 근로자, 자원 봉사자)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어난다. 학습자의 외국어 학습 조정 시 다양한 사회적 정체성이 언어 투자를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된다. 정규 외국어 학습의 교수법에 대한 시사점을 다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leverages “Investment Theory” (Norton, 1995) to investigate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when it comes to the social identity and investment of learners in an adult EFL program in South Korea. Using triangulation, this study examines how three Korean learners negotiated their social identity and English learning with regards to language investment. The data were collected via class observations,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the EFL program’s class attendance sheet, from October 2019 to February 2020. The findings revealed that EFL learners’ social identity and investment, which can be negotiated and constructed over time, are diversified and changeable through the process of learning English. Lacking the daily language environment of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EFL learners start learning English at school. As a result, a learner’s first English learning-related social identity is one that involves examinations and/or tests, while other social identities (e.g., those of a traveler, teacher, worker, volunteer, etc.) follow over time. When negotiating a learner’s foreign language learning, diverse social identities help promote language investment. Finally, implications for formal foreign language learning pedagogy are discussed within this study.
목차
1. Introduction
2. Theoretical Framework
3. Literature Review
4. Methods
5. Results
6. Discussion
7. Conclusion and Implication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