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hange of Benthic Diatom Community in Taean Tidal Flats after Hebei Spirit Oil Spill
- 발행기관
- 국립공원연구원
- 저자명
- 박종규(Jong-Gyu Park) 김소연(So-Yeon Kim) 김병석(Byound-Seok Kim) 최충현(Chung-Hyun Choi) 국현근(Hyeon-Geun Kook)
- 간행물 정보
- 『국립공원연구지』제10권 제3호, 320~331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국문 초록
2007년 겨울 태안 해역에서 발생한 허베니 스피리트호 유류 오염 사고가 조간대 저서 규조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태안해안국립공원의 5개 해역(학암포, 만리포, 파도리, 백사장, 바람아래)에서 10년간 저서 규조류의 생물량과 군집 변동을 모니터링 하였다. 유류 오염사고 이후 5개 조간대 해역과 해수 중에 미세조류의 엽록소 농도는 크게 증가하였지만 이후 급격히 감소하여 2012년에 최소치를 보였다. 2014년 이후에는 다시 증가하였고 최근에는 수중에서 2-3 ㎍ L-1, 갯벌 해역에서 0.3-0.6 ㎍ cm-2의 농도를 유지하고 있다. 저서 규조류 세포수도 2012년에 최소치를 보인 후 2014년 이후 회복하여 2 × 105 cells cm-2 내외를 유지하고 있다. 오염사고 이후 저서 미세조류의 종조성은 오염 해역과 비오염 해역 사이에 크게 차이가 났지만, 2011년 이후 해역간 차이가 줄어들기 시작하여 최근에는 두 해역 간 차이가 거의 없다. 이런 결과는 저서 규조류에 대한 유류 오염의 국지적 영향이 거의 사라졌음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Hebei Spirit oil spill on the intertidal benthic diatoms in the Taean Sea area, which occurred in winter 2007, the biomass and community changes of benthic diatoms were monitored in the intertidal zone of Hagampo, Manripo, Padori, Baeksajang and Baramarae of Taean National Park for 10 years. The chlorophyll concentrations of microalgae in the five intertidal zones and seawater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oil spill, but then declined sharply, reaching a minimum in 2012. It has increased again since 2014, and recently maintained the concentration of 2-3 ㎍ L-1 in seawater and 0.3-0.5 ㎍ cm-2 on tidal flat every year. The number of benthic diatom cells also reached a minimum in 2012 and has been recovered since 2014, maintaining around 2 × 105 cells cm-2. The species composition of benthic microalgae varied greatly between polluted and non-polluted areas after oil spill, but since 2011, the differences between two areas have begun to diminish, and has recently become very similar in the entire surveyed area. These results implies that the local impact of oil pollution on benthic diatoms has almost disappeared.
목차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사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