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Task Interaction Using AI Chatbo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명호(Myung ho, Park) 김정렬(Jeong Ryol,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9호, 1~1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5.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AI 챗봇을 활용한 상호작용적인 영어 글쓰기 활동의 고등학교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챗봇 Mitusku와 Replika를 이용하여 고등학교 1학년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2015 영어교육과정의 의사소통 기능을 중심으로 선정한 과업 수행을 챗팅을 통해 수행하도록 하였다. 결과 챗봇과 학습자들이 대화에 사용한 어휘 양상을 분석한 결과 Mitusku와 Replika 가 사용한 어휘의 88%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설정한 기본어휘 2000에 해당하는 어휘로 고등학교 1학년 학습자들에게 이해 가능한 어휘를 제공하여 학습자들이 대화를 이해하고 상호작용을 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었다. 대화의 상호작용을 분석한 결과 챗봇과 학습자 사이에 clarification request, confirmation check을 통한 의미협상이 발생하고, 챗봇이 명시적으로 알맞은 언어 형식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학습자가 의미에 초점을 둔채 상호작용을 하면서 언어 형식에도 선택적인 관심을 기울 일 수 있도록 했다. 설문 결과 학습자들은 Replika를 더 편안한 대화 상대방으로 선호했으나 하나의 주제에 대해 많은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챗봇으로는 Mitusku를 선택했다. 연구 대상자 모두 챗봇 활용 글쓰기가 자신의 영어 쓰기 능력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고, 챗봇이 정보를 검색 후 사진과 글을 즉각적으로 제시하고 자신들을 기억해 주고 위로 해 주는 다정한 말을 제시한다는 것을 긍정적으로 인식했다. 연구의 제약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했다. 결론 챗봇이 이해 가능한 입력과 출력을 장려하여 고등학교 학습자들의 상호작용 글쓰기 활동에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s aiming to analyze the given task-based interaction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s in a high school writing class to foster students’ English interactions. Methods Chatting with two chatbots (Mitusku and Replika), students tackled seven tasks designed according to the English communicative functions of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Results The analysis of chatbots’ vocabulary showed that about 90% of chatbots vocabulary was listed in the Base Word List 2 of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t means chatbots could offer comprehensible input to high school learners. Moreover, the investigation of dialogs indicated that conversational interaction triggered negotiation for meaning in the form of clarification requests and comprehension checks. Chatbots could raise learners awareness of language forms maintaining the learners’ main focus on its meaning. Compared to Mitusku, Replika was chosen to be more convenient chatting partner for offering emotional comfort and remembering learners’ previous dialogs. However, in other instances Mitusku was chosen as a better chatting partner to discuss a topic more deeply and more closely. All the learners perceived the chatting with AI chatbots positively contributed to develop their English writing skills. Further researches are in demand in the area of learners’ communicative strategies use according to their proficiency levels. This will lead to evaluating learners’ speaking or writing ability automatically by using AI chatbot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ed that chatbots can be useful tools for high school students interactive writings with comprehensible input and pushed outpu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