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Reflection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Process of Preparing Lesson Plans in the Social Studies: Suggestions for Better Instruction Desig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수룡(Lee Su-Ry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9호, 579~59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5.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의 사회과 수업지도안 작성 과정에서 나타난 반성내용을 실제적으로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도 소재의 교원양성기관에서 재학 중인 초등 예비교사 43명이 기록한 반성일지 내용을 van Manen의 반성의 수준을 참고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예비교사들은 사회과 수업지도안 작성 과정에서 수업목표의 선정, 수업모형의 적용, 수업활동의 구상, 평가계획 수립에 대한 기술적 반성의 수준을 나타냈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사회과 수업지도안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나 상황을 탐색하고 이에 대한 교사의 역할을 검토하는 실천적 반성의 수준을 나타냈다. 셋째, 예비교사들은 사회과 수업지도안을 작성하면서 이론과 수업 실행의 차이에 관심을 갖고 현행 교육과정의 모순과 한계를 지적하는 등 비판적 반성의 수준을 나타냈다. 결론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수업지도안 작성을 통해 반성적 실천가로서 자신만의 고유한 전략과 방법으로 더 좋은 사회과 수업을 설계할 수 있는 안목과 역량을 갖출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에 교사의 수업전문성 향상을 강조하는 시점에서 과연 수업전문성이 어떠한 역량을 의미하는가에 대한 구체적이고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며, 수업설계를 위한 교사의 수업지도안 작성에 관한 논의가 그 출발점이 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ctual reflection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process of writing lesson plans of social studies. Methods To this end, 43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reflection log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analyzed by referring to van Manen s reflection level. Results First,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a level of technical reflection after writing a lesson plans in social studies. It is the process of selecting instructional objectives, applying instruction models, planning instructional activities, and establishing evaluation plans. Second,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a level of practical reflection in the process of writing a lesson plans in social studies. It is to explore the problems or situations that may arise in the instruction and examine the role of teachers. Third,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a level of critical reflection in the process of writing a lesson plans in social studies. It focuses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ory and instructional practice and points out the contradic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iculum. Conclusions In response, this study confirmed the possibility that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uld have an eye and ability to design better social studies instruction in their own unique strategies and methods as reflective practitioners through the preparation of writing a lesson plans in social stud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사회과 수업지도안 작성 중-후 반성의 양상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