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야간에 발생하는 성, 절도와 공간적 요소간의 상관관계 분석

이용수 72

영문명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Nighttime Sex Offences, Larceny and Spatial Factors
발행기관
한국셉테드학회
저자명
이주원(Juwon Lee) 정용욱(Yongwook Jeong)
간행물 정보
『한국셉테드학회지』제11권 제3호, 323~34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법학 > 민법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야간에 발생하는 성, 절도 범죄의 유발요인을 분석하고, 각각의 범죄에 미치는 영향을 도출하는 것에 있다. 본 연구는 서울지방경찰청의 협조를 받아 실제 범죄발생 데이터를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서울시 25개 자치구 중 안전도가 낮은 서울시 A구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한 결과, 도시의 범죄 유발요인은 성, 절도 범죄에 대하여 각각 다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혀냈다. 거리의 조명은 절도범죄에는 무의미함을 보였으며 성범죄에는 유의미한 예방효과를 보였다. 공원과 하천은 성범죄에 한하여 범죄를 유발하는 요소로 나타났다. 토지이용상의 주거지역은 성, 절도 범죄 모두 (-)부의 관계를 보였으나 절도범죄에 비하여 성범죄에 1.5배에서 3배정도 예방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범죄 예방요소에 따라 범죄발생 장소, 시간, 수법에 차이를 보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범죄 죄종에 따른 예측기법 분류의 필요성과 더불어 죄종에 따른 범죄 취약지를 도출해 내는 것에 이바지 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With the cooperation of the Seoul Metropolitan Police Agency, this study used actual data on crime occurrences and carried out an analysis of “A” district in Seoul, which has the lowest safety level of the city’s 25 district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urban spatial factors for crime have varying effects on sex-related offences and larceny, respectively. While streetlights do not play a significant role in larceny, they have a significant preventive effect on sex-related offences. Parks and streams in the city were shown to be crime-causing factors for sex-related offences only. While residential areas have negative effects on sex-related offences and larceny, the study found that they have a larger preventive effect on sex-related offences than larceny by 1.5 to 3 times. This can be attributed to differences in location, time, and methods of crime that vary depending on spatial factors. This study seeks to highlight the need for predictive technique classification and determine locations vulnerable to crime based on the type of crime

목차

Ⅰ. 서 론
Ⅱ. 야간 범죄관련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주원(Juwon Lee),정용욱(Yongwook Jeong). (2020).야간에 발생하는 성, 절도와 공간적 요소간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셉테드학회지, 11 (3), 323-346

MLA

이주원(Juwon Lee),정용욱(Yongwook Jeong). "야간에 발생하는 성, 절도와 공간적 요소간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셉테드학회지, 11.3(2020): 323-346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