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cognition of Importance and Current Level of Communication Functions Using IPA: Focusing on A University in Chungcheongbuk-do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이지선(Lee, Jeesun)김현수(Kim, Hyeonsu)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리터러시 연구 12권 1호, 191~22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2.28
국문 초록
연구의 목적은 대학 기초 의사소통 교과목에서 수행 교육과 상위인지 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의사소통 기능에 대한 대학생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이를 위해 중요도·현재수준 인식을 조사하여IPA분석을 수행하고,전체 대학생의 인식과 전공계열별 인식을 나누어 분석하였다.분석 결과 의사소통 기능을 중요도·현재수준 인식이모두 높아 현재 교육 수준을 유지할 기능,중요도는 높게 인식하지만 현재수준에 대한 인식이 낮아 수행 교육을 강화해야 하는 기능,현재수준을 높게 인식하고 중요도는 낮게 인식하여 상위인지 교육이 필요한 기능,현재수준과 중요도를 모두 낮게 인식하여 수행 교육·상위인지 교육을 모두 강화해야 하는 기능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전체 의사소통 기능의 중요도에 비해 현재수준을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의사소통 기능 교육에 대한 학생 요구가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피드백 교육을 유지하고,집단 의사소통워크숍을 적극적인 교육 방법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전공계열별로는 사범대학생과 이공계열학생의 인식이 뚜렷한 특징을 보였다.사범대학생들은 ‘비언어적 요소’에대한 중요도 인식이 높고,이공계열학생은 ‘표현 활동을 부담스럽지 않게 느끼는 태도’가 중요하다고 인식했다.이 결과는 전공계열별의 특징에 따라 일부 기능 교육은차별적으로 접근할 필요도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tudents’ perception of communication functions. The survey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IPA using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focusing on the importance and current level of the communication function. The results were classified in terms of the ability to maintain the current level of education based on both high importance and current level awareness; that is, the ability to strengthen activity-oriented education due to low current level. In addition, it was classified as an ability that requires metacognition education due to its current level and low importance, and an ability that requires both activity-oriented and metacognition education to be strengthened. The study found that all students rated the current level lower than the importance for all communication functions. This means that there is a high demand for communication functional education. All students indicated that it was necessary to maintain feedback education and use communication workshop activities as an active training method. In addition, there were more necessary functions to strengthen education that were used as top-level through “coordinating” activities for each function.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by major department) in the perception of students from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at the College of Education have a high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non-verbal elements,” and students in science and engineering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an attitude that makes expression activities not burdensome.” These results show that some functional education needs to be approach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목차
1. 연구의 목적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