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convergence programs organized by Pre-service history teachers on the subject of citizen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해영(Lee, Haeyoung) 김수철(Kim, Soocheol)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8호, 455~46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4.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5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창의융합형 인재상을 구현할 수 있는 문이과 융합프로그램을 예비 역사교사가 구성한 과정과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예비 역사교사들은 역사를 중심으로 다른 교과와 융합하는 다교과적 방식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탈교과적인 융합이 아닌 다교과적, 간교과적 융합프로그램을 구성할때는 교과간 융합을 하기에 앞서 교과의 목적이나 고유한 특징과 같은 인식론적인 이해가 선결되어야 한다. 교과의 인식체계를 제대로 이해할 때 예비교사는 융합프로그램을 자유자재로 구성할 수 있었다. 더불어 문이과 융합으로 창의적인 인간 양성을 하는 일이나 교과의 장벽을 허물어가는 융합 방식도 중요하지만, 삶의 통찰력을 배운 후 이를 토대로 창의력을 키울 수 있도록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융합이 이루어져야 한다. 시민교육을 추구하는 융합프로그램도 학생들에게 일정한 삶의 방향타 역할을 해 준다. 최근에는 여러 교과가 시민교육에 관심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융합프로그램의 가능성은 더 커졌다. 특히, 수학이나 과학 등 이과에서도 시민교육을 추구하고 있어 시민을 주제로 한 문이과 융합프로그램을 좀 더 다양하게 모색할 수도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a convergence program organized on the subject of citizen by pre-service history teacher. Pre-service history teachers interpreted citizens in their own ways and linked them to the convergence program. In the fusion of history and other subjects, the multidisciplianry method was the most common. If it is not a transdisciplinary method, the convergence program can be easily composed only by first grasp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The convergence method of nurturing creative people and breaking down the barriers of the subject is important. More importantly, after learning life insights, students should be able to develop their creativity based on them. The convergence of humanities and natural sciences should emphasize this. In this respect, citizenship education can expand its scope and depth as the subject of convergence program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Ⅲ. 예비 역사교사가 구성한 융합프로그램 분석
Ⅳ. 예비 역사교사가 구성한 융합프로그램의 특징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