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learning immers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임영재(Im, YoungJae) 이경희(Lee, Gyeoungh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8호, 479~49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4.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동기’, ‘학습몰입’, ‘학습만족’,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 관계를 구조모형으로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895명의 응답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동기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가장 크게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성취동기는 학습몰입과 학습만족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성취동기는 학습몰입 또는 학습만족을 매개하는 단순매개효과 및 학습몰입과 학습만족을 매개로 하는 이중매개효과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몰입은 학습만족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고, 학습만족을 매개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간접적인 정적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습만족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관계를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learning immers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a structural model. To this end, 895 fifth-grade and six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Province responded. First,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mo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chieve academic performance has the greatest static effect on their academic self-efficacy. Second,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has been shown to have a direct static effect on learning immers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Third, both the simple parameter effect that mediates learning immersion or learning satisfaction and the dual parameter effect that mediates learning immers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have a significant impact. Fourth, learning immersion has a direct static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and indirect static effect on academic self-efficacy by mediating learning satisfaction. Fifth, learning satisfaction has been shown to have a static effect on academic self-efficac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that influenc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and based on this, suggested the implications for increas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