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French Competency-Based Curriculum: Focusing on France 2015 National Curriculu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영실(Kim Youngsil)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8호, 565~58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4.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프랑스의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도입과 2015 국가 교육과정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프랑스에서는 1980년대 초, 지식기반 사회 담론의 도래 이후 학교교육과 경제를 밀접하게 관련시키려는 흐름이 강해졌으며 1990년대 초에 역량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편찬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이후 OECD와 유럽의회에서 추동한 글로벌 담론의 영향으로 ‘공정한 학교 만들기’ 정책이 역량 중심 교육과정 편찬으로 이어졌다. 이 노력의 첫 번째 결과물로서 2015 국가교육과정은 교과 교육과정 내용과 역량을 밀접하게 관련시켜 총론과 교과 교육과정의 연계를 추구하되, 교과 교육의 성격과 자율성에 좀 더 비중을 두었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두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 번째, 프랑스에서는 교육과정 구성의 중심을 지식에서 역량으로 전환하는 과정에 프랑스 고유의 논리를 개발해 일국의 내적 조건에 맞게 글로벌 담론을 활용하였다. 두 번째, 역량을 교육과정 내용을 관통하는 축으로 활용하였으며, 학생에게 제공될 상황, 활동, 도구의 예로 교과 교육과정 내용을 제시하였고, 교과통합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방안까지 교육과정 수준에서 제안하였다.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서 프랑스의 이와 같은 고유의 논리 개발 과정과 적용 사례는 한국 교육과정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introduction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France and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to research an example of how competencies and subject curriculum are integrated. In France, since the advent of a knowledge-based society discourse in the early 1980s, school education and the economy have been closely related. And in the early 1990s,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was proposed. Since then, the “making a fair school” policy has led to the publicatio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under the influence of global discourses such as the OECD, etc. As the first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France,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seeks to connect the competencies and the subject curriculum by giving more emphasis on the autonomy of the subject curriculum. From the above discussion, the case study of France deduces two implications. First, in France,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center of the curriculum composition from knowledge to competence, a French-specific logic was developed and the global discourse was utilized in accordance with the internal conditions of a country. Second, competency is used as an axis to penetrate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contents of the curriculum are presented as examples of situations, activities, and tools to be provided to students, and integrated lessons are also proposed at the curriculum level.
목차
Ⅰ. 서론
Ⅱ. 프랑스 역량 중심 교육의 도입 과정
Ⅲ. 프랑스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특징
Ⅳ. 프랑스 역량 중심 교육과정 사례 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