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Depression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경희(Kim, Gyung Hee) 윤희상(Yoon, Hee S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8호, 599~61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4.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재학기간 중 우울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파악하여 향후 간호대학생을 위한 우울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간호학과 4년 교육과정을 마친 자로 심층면담을 통해 “간호대학생의 우울경험은 어떠하였는가?”의 연구 질문으로, 11명의 참여자에게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2019년 1월 30일부터 2월 20일까지이었으며,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방법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우울 경험에 대한 분석 결과 ‘학업 스트레스’, ‘어려운 인간관계’, ‘신체적 증상 발현’, ‘슬픔’, ‘분노’, ‘미래에 대한 걱정’ 등 6개의 범주와 14개 주제모음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도출된 결과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우울을 예방할 수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 및 학생상담센터의 집단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and to explain what experienced on depression by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with 11 participants were done between 60 to 90 minutes, from 30, Jan, 2019 to 20, Feb.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y Colaizzi s phenomenological method.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6 categories that experienced on depression by nursing students included ‘academic stress’, ‘difficult in human relationship’, ‘expression of physical symptom’, ‘grief’, ‘anger’, ‘worry about the future’. The result were suggested to intervention to nursing students on depression. Additionally, it is thought that provide to development in depression preven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