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Action Research of Distance Learning Based on Practical Problems in the Clothing Life Area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성연(Choi, Seong-Yo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7호, 513~53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4.15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교과 원격수업에서 긍정적인 교육의 변화를 도모하기 위해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을 원격수업으로 실행하여 학생들이 학습하는 과정은 어떠하며,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생과 교사의 변화는 무엇인지를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중학교 3학년 5개반 학생 166명이며, 수업을 원격으로 관찰하고 원격 화상회의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실천적 문제는 ‘의생활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로 의생활 영역과 관련된 주제로 실행과 반성을 3차에 걸쳐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중학생들이 실천적 문제 중심 원격수업을 학습하는 과정은 오픈 채팅방을 통해 모둠원과 상호작용하고, 구글 문서를 통해 교사의 피드백을 받아 실천적 문제를 해결하고, 실습 과정과 결과물을 공유하면서 마스크 만들기 활동을 수행했으며, 실습수업을 통해 해결방안을 실천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였다.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이전보다 수업에 더 집중하게 되었고, 상호작용을 더 원활하게 하였으며, 관심과 행동의 변화가 일어났다. 교사는 원격수업을 통해서 실습수업이 가능하다는 것, 원격수업을 통해 실천 의지를 이끌어 낼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고, 원격수업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learning students and the changes of students and teachers in this process by implementing practical problem based classes as distance learning in order to promote positive changes in education in home economics classes. The participants were 166 students in 5 classes in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and the class was remotely observ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rough video conferences. The practical problem is ‘What should we do to solve the problem related to clothing life?’. The subject related to clothing life was executed and reflected three tim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rocess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learn practical problem based distance learning interacts with group members through open chat rooms, solving practical problems by receiving teacher feedback through Google documents, and making masks while sharing the practice process and results. And showed a willingness to practice the solution through practice classes. Through the class, the students became more focused on the class, the interaction was smoother, and the interest and action changed. Teachers realized that they could practice through distance learning and that they could draw their will to practice through distance learning, and they became confident in the class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교과 원격수업의 과정
Ⅴ.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교과 원격수업에서 학생과 교사의 변화
Ⅵ.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