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혼여성근로자의 조직효과성에 관한 연구동향

이용수 188

영문명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Married Working Women
발행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저자명
김지영(Jiyoung, Kim)
간행물 정보
『여성연구』통권 제108호, 161~19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3.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여성의 생애주기를 고려했을 때 기혼여성근로자의 근속과 조직효과성 창출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기혼여성근로자의 조직효과성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최근 20년간 진행된 기혼여성근로자의 조직효과성에 대한 연구를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적 문헌분석 절차에 따라 문헌을 선별하고, 연구의 목적과 일치하는 총 45편의 논문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여성근로자의 조직효과성 관련 연구는 2000년 이전보다 2010년 이후에 좀 더 많은 수의 연구가 수행되고 있었고, 주로 ’여성‘을 주제로 하는 학술지와 가족 및 가정 관련 학회지 등에 게재되었다. 둘째, 기혼여성근로자에 관한 많은 연구에서는 1차 자료뿐 아니라 2차 자료도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또한 회귀분석, 분산분석 등의 연구방법이 활용되었다. 셋째, 조직효과성에 관한 변인은 직무관련 관리능력, 직무열의, 직무성과, 조직몰입, 경력몰입, 가정→일촉진, 직무관련소진, 이직의도, 직무스트레스, 가정→일 갈등, 직무만족, 조직만족, 경력만족, 재직의도 등으로 도출되었다. 그리고 개인요인・가정요인・ 조직요인에 해당하는 변인들이 이러한 조직효과성 변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연구결과에 기반한 학문적 시사점으로 기혼 여성근로자의 조직효과성에 관한 추가 탐색의 필요성, 다양한 자료 및 연구방법 활용의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실무적 시사점으로 일가정균형을 위한 유연한 근무제도 및 세밀한 성과평가제도의 병행과 교육훈련・사내캠페인・코칭 등을 통한 상사 및 조직지원인식 향상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Considering the life cycle of women in South Korea,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improving the intention to work and contribution to organization effectiveness. Therefor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existing literature about married working women in the organization over the last 20 years in order to get implications for married women’s workforce in the organization. To this end, literature was selected according to an integrated literature analysis procedure, and a total of 45 papers that matched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re researches on the work of married women have been conducted since 2010 than before 2000, and were mainly published in ‘women’ and family-related journals. Second, in many studies on married working women, not only the primary data but also the secondary data were widely used. In addition, research methods such as regression analysis and variance analysis were used. Third, the variables for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re job-related management ability, work engagement, job perform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career commitment, family-work facilitation, job-related burnout, turnover intention, job stress, family-work conflict,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 satisfaction, care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work. And it was found that variables corresponding to individual factors, family related factors, and organization factor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se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need for further exploration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married working women as well as use of various data and research methods were suggested as academic implica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clude a flexible work system with detailed performance assessment and visible support from supervisor and organization.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영(Jiyoung, Kim). (2021).기혼여성근로자의 조직효과성에 관한 연구동향. 여성연구, , 161-192

MLA

김지영(Jiyoung, Kim). "기혼여성근로자의 조직효과성에 관한 연구동향." 여성연구, .(2021): 161-192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