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Non-Cognitive Competencies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Life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은정(Kim Eun-jung) 박진주(Park Jin-ju)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6호, 191~20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비인지 역량이 그들의 삶의 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20년 부산광역시의 P대학의 대학생 3,0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도출을 위해, 먼저 대학생의 비인지 역량을 개인수준에서 자기공감, 회복탄력성, 그릿, 학업효능감을, 관계수준에서 사회적지지를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각 비인지 역량을 독립변인으로, 학업성취도와 삶의 만족도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업효능감과 그릿은 9.2%의 설명력을 가지고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지지, 자기공감, 회복탄력성, 그릿 및 학업효능감은 각 요인별 차이는 있으나 44%의 높은 설명력을 가지고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현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대학생들에게 중요한 비인지 역량을 선정하여 학업 성취도, 삶의 만족도 간의 긍정적 관계를 밝혔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non-cognitive competencies of university students affect academic achievement and life satisfaction.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ed 3,006 university students of a national university in the Busan, Korea in 2020. To derive the results, self-compassion, resilience, grit, academic self-efficacy were first selected at the individual level for the non-cognitive competencies of the students and social support was selected at the relationship level. Next,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setting non-cognition competencies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life satisfaction as subordinate variables. Studies have shown that academic self-efficacy and grit affect academic achievement, and social support, self-compassion, resilience, grit, and academic self-efficacy affect life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this article discusses consider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ollow-on stud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결과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