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on the Math-Based Management of an Integrated Curriculum between Different Grades in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재성(Jo Jae-se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6호, 275~29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9년 1월부터 1년 동안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하여 5학년과 6학년을 대상으로 학년 간 통합교육과정을 실행한 내용을 담고 있다. 1학기 프로젝트 ‘벽화 미술관’과 2학기 프로젝트 ‘학교 건축가’를 통해 학생들은 배움의 경계를 학교에서 지역 공동체로 확대하는 경험을 할 수 있었다. 장기간의 학년 간 통합교육과정 운영의 결과, 학생들은 교과로부터 시작되는 교육과정의 연계성에 관해 이해하게 되었고, 교사들도 협력적 실행연구 과정에서 수업의 책무성 및 협력의 중요성을 절감하게 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을 시사한다. 첫째, 교사들이 통합교육과정을 꾸준히 경험하고 기법을 축적할 수 있도록 하는 경험의 기회를 꾸준히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6학급 이하 소규모 학교를 중심으로 학년 간 통합교육과정 사례를 발굴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과의 경계를 넘어선 통합교육과정에 관한 논의가 본격화되어야 한다. 교과의 한계를 뛰어넘어 개별 교과의 형식적인 결합이 아닌 주제와 역량에 기반한 통합적 교육과정에 관한 시도가 더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 사례를 통해 통합교육과정 논의의 측면을 한 차원 더 높이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an integrated curriculum between the fifth and sixth grade was implemented with a focus on the math subject. Participating in the first semester project “Gallery of Murals” and the second semester project “School Architects,” the students were able to expand the boundary of their learning from the school to the local community. After the long operation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between the fifth and sixth grade, the students got to understand the articulation of the curriculum that began with subjects, and the teachers realized the accountability of lessons and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in the process of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These findings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eachers need to receive a constant inflow of opportunities to have consistent experiences with an integrated curriculum and accumulate their techniques; secondly, it is needed to search and identify cases of an integrated curriculum between different grades around small schools of six classes or fewer; and finally, there should be full-blown discussions about an integrated curriculum beyond the boundary between different subjects. There should be more attempts at an integrated curriculum based on topics and competences rather than a formal combination of individual subjects beyond their limitations. The cases examined in the present study will hopefully contribute to a higher level of discussions about an integrated curriculum.
목차
Ⅰ. 서론
Ⅱ. 협력적 실행연구의 방법 및 절차
Ⅲ. 학년 간 수학 중심 통합교육과정설계
Ⅳ. 학년 간 수학 중심 통합교육과정 실행과 성찰
Ⅴ. 수학 중심 학년 간 통합교육과정 운영을 통한 학생과 교사의 변화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