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Observing Young Children through Metaphor Analysi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혜영(Jung hyeyoung) 김미진(Kim Miji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6호, 431~44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은유 분석을 통해 유아교사의 유아관찰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는 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교사 155명이며, 자료수집은 유아관찰에 대한 메타포와 그 이유를 작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개방형 설문지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메타포 명명, 메타포의 분류 및 제거, 메타포의 표본 추출과 범주화, 평정자 간 신뢰도 확인의 4단계 절차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131개의 메타포는 본다는 것, 유아 이해, 관찰의 관점, 교육의 기본, 어려움, 교사 성장의 과정, 평가를 위한 업무의 7가지 범주로 분석되었다. 유아교사들이 유아관찰에 대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시선과 실천을 분석하고, 관찰의 의미, 관점, 목적, 어려움 등의 측면에서 유아관찰의 한계와 방향성을 논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observing young children through metaphor analysis. The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155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pen-ended questionnaire that was composed to fill out metaphors and reasons for children observ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four steps: naming/labeling stage, clarification and elimination stage, sample metaphor compilation and categorization stage, and establishing the inter-rater reliability rate stage. As a result of the study, 131 metaphors were analyzed into 7 categories of seeing, understanding of children, viewpoint of observation, basics of education, difficulties, the process of teacher growth, and work for evaluation. The various perspectives and practi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bservations were analyzed, and the limitations and directions of children observation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meaning, viewpoint, purpose, and difficulty of observ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