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Understanding the geographic thinking proc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a grounded theory approach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홍서영(Hong, Suh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6호, 463~48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지리적 사고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발화 사고법으로 연구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 이론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C초등학교 학생 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 코딩의 결과 11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다음으로 개방 코딩에서 얻은 11개의 범주 각각의 속성과 차원을 고려하여 패러다임 모형에 근거해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지리적 사고 과정에 관한 핵심 범주를 ‘주어진 지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인지 전략의 활용’으로 설정하였다. 둘째, 초등학생의 지리적 사고 과정이 문제 파악, 문제 분석, 실행, 강화, 문제 해결의 과정으로 진행됨을 도출하였다. 셋째, 초등학생들의 지리적 사고 유형은 적극적 문제 해결형, 소극적 참여형, 결과 도출 우선형, 자신감 결여형으로 구분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지리적 사고 과정에 적합한 교과서 및 보조 자료를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학생들의 지리적 사고 과정에 맞는 비계 설정 및 수업 안내가 이루어져야 하고, 학생들의 지리적 사고 과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탐색이 요구되는 등의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understand the geographic thinking proc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study collected research data using think aloud and analyzed it based on Strauss & Corbin (1998) s Grounded Theory. To this end, a study was conducted on 9 students of C elementary school in Seoul,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11 categorie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open coding. Next, 11 categories analyzed by considering each properties and dimension based on the paradigm model. Based on this, in this study, the core category of the geographic thinking proc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set as ‘use of various cognitive strategies to solve a given problems’. Second, it can be seen that the geographic thinking proc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oceeds as the process of problem identification, problem analysis, implementation, reinforcement, and problem solving. Third, the types of geographic think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divided into active problem solving type, passive participation type, result-derived priority type, and lack of confidence type. Through this, the following three implications could be drawn.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xtbooks and supporting materials suitable for students geographic thinking process. Next, scaffolding should be set according to the students geographic thinking process and instructional guidance should be made. Finally, more active exploration of factors influencing students geographic thinking process is required.
목차
Ⅰ. 서론
Ⅱ. 문헌 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