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Auditory Information Types in Vehicle based on User Experience of Hearing Impaired Drivers
- 발행기관
-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 저자명
- 변재형(Jae Hyung Byun)
- 간행물 정보
- 『스마트미디어저널』Vol10, No.1, 70~78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컴퓨터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30
국문 초록
청각정보는 시각에 비해 방향에 제한을 받지 않으므로 자동차 내에서 긴급한 알림이나 경고의 목적으로 활용된다. 그러나 청각장애 운전자는 청각정보를 인지할 수 없으므로 이를 대체하기 위해 다양한 시각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청각정보를 시각화할 때는 시각에 집중되는 인지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중요한 정보만을 선별해서 제공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자동차 내 청각정보의 유형 분석이 우선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청각장애 운전자의 운전상황 관찰을 통해 자동차 내에서 경험하는 청각정보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33가지의 청각정보는 전문가 그룹에 의한 개방적 카드소팅을 통해 12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으며, 그룹 간 상대적 중요도 비교를 통해 4개의 계층으로 분석하였다. 제시된 자동차 내 청각정보 유형은 청각정보를 시각 또는 촉각으로 변환하여 표시할 때 중요한 정보를 선별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으로서 활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청각장애 운전자를 대상으로 일상에서의 실제 운전상황 관찰에 의한 사용자 경험 분석이 이루어졌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auditory information is used for urgent notification or warning in vehicle because it is not restricted by the direction compared to the visual. However, since the hearing impaired drivers cannot recognize sound signal, various methods of visualizing the auditory information have been attempted to replace it. When visualizing auditory information, only important information should be selected and provided to prevent cognitive overload concentrated on the vision. For this purpose, analysis of the type of auditory information in vehicle should be given in advance. In this study, the types of auditory information in vehicle were analyzed based on the user experience of hearing impaired drivers. Through the observation of the driving behavior of hearing impaired drivers, 33 auditory informations experienced in vehicle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auditory informations were classified into 12 groups through open card sorting by an expert group, and the types of auditory information in vehicle consisting of four levels were presented through a relative comparison of importance between groups. The presented type of auditory information in vehicle can be used as a guideline for selecting important information when the auditory information is converted into visual or tactil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user experience analysis was conducted by observing actual driving in daily life of hearing impaired drivers.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