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ethodology of Analyzing the Measure of Combat Effectiveness Reflecting Communication Effects in Network Centric Warfare
- 발행기관
- 한국시뮬레이션학회
- 저자명
- 배장원(Jang Won Bae) 강봉구(Bong Gu Kang) 김병수(Byeong Soo Kim) 성창호(Changho Sung) 김탁곤(Tag Gon Kim) 안명길(Myung Kil Ahn) 이상일(Sang Il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제21권 제3호, 57~6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9.30

국문 초록
네트워크 중심전(NCW)이 미래 전쟁의 양상으로 발전 하면서, 네트워크 통신 효과에 의한 전투 효과도를 분석하는 연구의 중요성이 증가 하고 있다. 기존의 전투 효과도 분석은 워게임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이루어졌고, 통신 효과의 분석은 통신 네트워크 시뮬레이터를 이용 했다. 그러나 통신 효과에 의한 전투 효과도를 파악하는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통신 효과를 반영한 전투 효과도 분석은 통신 모델의 파라미터와 전투 효과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통신 효과와 NCW 전투 효과도의 관계를 분석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특히, 본 방법론에서는 통신 모델의 파라미터와 NCW 전투 효과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계층적인 OAI 매트릭스를 개발 하고, 그 결과를 NCW 시뮬레이터와 통신 시뮬레이터의 연동 시뮬레이션으로 검증 한다. 또한, 연동 시뮬레이션의 실험 결과를 통해 통신 모델 파라미터와 NCW 전투 효과도의 관계를 메타모델(meta-model)로 표현 한다. 이 과정에서 통신 시뮬레이터와 NCW 전투 시뮬레이터의 추상화 수준 차이를 보정해주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델을 제안 한다. 본 논문의 방법론을 통해, NCW 전투 효과도와 통신 모델 파라미터의 직접적인 관계를 파악할 수 있고, 이 관계를 이용해서 NCW 상황에서 부대 교리나 통신 운용과 통신 시스템의 장비 설계 등에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As a future warfare is changed to network-centric warfare (NCW), importance of research on the relation between combat effectiveness and communication effect has increased. The combat effectiveness has been analyzed using war game simulator and the communication effect has been analyzed using communication simulator. However, the relation of them has not been researched so far. In this paper, we describe a methodology of analyzing the measure of effectiveness reflecting communication effects in NCW. In the methodology, firstly, simulation interoperation environment between the war game simulator and the communication simulator is developed. Especially, we propose an interface model and interoperation interface to support the simulators for simulation interoperation. Then, we statistically analyze the output data of the simulation interoperation environment and develop a meta-model which illustrates the relation between war game and communication simulator directly. With this methodology, we can figure out the relation between the war game and communication simulator directly. Moreover, we expect that this relation effects on developing doctrines, communication oper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목차
1. 서론
2. 배경 지식
3. 통신 효과를 반영한 네트워크 중심전 전투 효과도 분석 방법
4. 결 론
감사의 글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