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imulation Case Study of Congestion Assessment for Validation of Naval Ship’s Operability Performance in a Crew Mess Room
- 발행기관
- 한국시뮬레이션학회
- 저자명
- 오대균(Dae Kyun Oh) 이동건(Dong Ku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제19권 제4호, 31~4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0
국문 초록
지금까지의 함정과 관련된 연구들은 전술 체계 및 함정 개발 위주로 진행되어 왔으며 승조원의 거주 생활 환경 개선에 대한 연구는 부족했다. 본 연구 대상인 함정 crew mess room은 승조원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함정 내 대표적인 복지 시설물로 기존의 전술·전략 중심의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방법론의 적용은 어려움이 있다. 이에 시설물의 혼잡도 평가 및 운용 시나리오 검증을 위한 3차원 이산 사건 시뮬레이션 기반의 시뮬레이션 모델링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대기시간, 이동시간, 이동거리 등의 결과 분석을 통해 이를 검증하였다. 제안한 혼잡도 평가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는 함정 crew mess room과 같은 복지성격의 시설물의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을 적용하기 위한 절차 및 시스템 구성 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 시뮬레이션 연구 수행에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영문 초록
So far, many simulation researches associated with naval ships have been concentrated on the tactical systems and naval ship development. However,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s for naval ship crews were limited. This study targets a crew mess room which is a typical welfare facility in naval ships and existing modeling and simulation methodologies for naval tactical and strategic systems cannot be applied to the crew room simulations. This paper suggests a simulation modeling framework based on 3-dimensional discrete event simulation methodology for crew mess room congestion assessment and operation scenarios. The simulation modeling framework is verified through practical case simulations. The purpose of simulation modeling framework consists of process and system architecture for operation feasibility tests of welfare facilities in naval ships and is to guide an assessment of the operability performance of a crew mess room.
목차
1. 서론
2. 시뮬레이션 방법론
3. 혼잡도 평가 시뮬레이션 모델
4. 사례 적용 및 결과 분석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