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uggestion of Measurement Management Criteria for Soil Slope Failure Based on Displacement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최선규(Choi, Sun-Gy) 석재욱(Suk, Jae-Wook) 정향선(Jeong, Hyang-Seon)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1권1호, 251~26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2.28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토사비탈면 붕괴에 대한 변위기반의 계측관리기준을 선행연구, 소형 및 대형실증실험 그리고 현장데이터 분석을 통해 개발하였다. 계측관리기준은 시공 중 또는 신속하게 관리가 요구되는 단기기반의 계측관리기준과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되는 장기기준의 계측관리기준으로 구분하여 개발하였다. 첫번째, 단기기준의 계측관리기준은 소형 및 대형실증실험을 통해 ‘주의단계 1 mm/min’, ‘경계단계 4 mm/min’과 ‘심각단계 21 mm/min’으로 산정되었다. 두 번째, 장기기준의 계측관리기준은 선행연구와 현장데이터 분석을 통해 ‘주의단계 2 mm/day’, ‘경계단계 8 mm/day’와 ‘심각단계 56 mm/day’로 산정되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describes the Measurement Management Criteria (MMC) of a soil slope failure based on displacement using literature reviews, small-scale experiments, large-scale experiments, and field data. Two types of measurement management criteria were developed, i.e., short-term criteria for slopes under construction or requiring urgent measurements, and long-term criteria for slopes under continuous management. First, the measurement criteria for the short term were determined based on small- and-large scale experiments, and were determined to be “1 mm/min for the watch level,” “4 mm/min for the caution level,” and “21 mm/min for the alert level.” Next, the criteria for the long term were determin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field data, and were “2 mm/day for the watch level,” “8 mm/day for the caution level,” and “56 mm/day for the alert level”.
목차
Ⅰ. 서론
Ⅱ. 관리기준 설정 및 연구수행 방법
Ⅲ. 장비 및 실험 조건
Ⅳ. 단기기준의 계측관리기준 개발
Ⅴ. 장기기준의 계측관리기준 개발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