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a program to improve communication ability for mental disorder patients living in mental health faciliti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곽윤복(Kwak Yun Bok) 박근영(Park Geun 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4호, 179~19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2.28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정신요양시설의 정신질환자에게 의사소통능력 증진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자아존중감, 우울, 사회적지지, 스트레스,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사전과 사후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두 곳의 정신요양시설에 각각 실험군 28명과 대조군 28명을 편의추출하여, 2020년 5월 4일부터 7월 8일까지 사전, 사후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statistic 23을 활용하여 x2 test, 독립 t-test, Fisher’s exact test, Mann-Whitney U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삶의 질의 전반적 삶의 질과 일반적 건강은 동질성을 확보하지 않아 사전 결과의 영향을 통제하기 위하여 이를 공변량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의 자아존중감(Z=-2.88, p=.002)과 스트레스(Z=-4.72, p<.001)의 정도가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따라서 정신질환자의 의사소통능력 증진은 자아존중감을 증진하고 스트레스를 감소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정신요양시설의 정신질환자의 의사소통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자아존중감을 증진하고 스트레스를 관리할 수 있는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며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의사소통능력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서 제공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ffects on self-esteem, depression, social support, stress, and quality of life by applying a communication ability improvement program to mental disorder patients living in mental health facilities.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28 experimental groups and 28 controls were conveniently extracted from two mental health facilities, pre and post-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from May 4 to July 8, 2020.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x2 test, independent t-test, Fisher s exact test, and Mann-Whitney U test using IBM SPSS?? statistic 23. Quality of life Overall quality of life and general health did not secure homogeneity, so this was confirmed by covariate analysis in order to control the influence of prior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level of self-esteem (Z=-2.88, p=.002) and stress (Z=-4.72, p<.001) of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ere significantly improved. Therefore, it was found that improving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mental disorder patients is effective in promoting self-esteem and reducing str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inte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application of various programs related to communication skills in order to improve self-esteem and stress control ability of mental disorder patients in mental health facil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