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Wet Watercoloring Based on Waldorf’s Educational Arts Activities on Self-efficacy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s Childre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고금녀(Go Geum-nyeo) 조한숙(cho hansu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4호, 1233~125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2.28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발도르프 습식수채화 활동이 유아의 자기효능감과 감성지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여 유아들의 자기효능감과 감성지능 향상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Y군에 S어린이집 만 5세 유아 20명을 실험집단, 같은 군에 위치한 J어린이집 만 5세 유아 20명을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였으며. 구조화 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18년 12월 6일부터 2019년1월 29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 2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자기효능감 하위요인 중 인지적 자기효능감, 사회, 정서적 자기효능감, 자기효능감 전체에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실험집단의 유아가 자기효능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신체적 자기효능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감성지능의 하위요인 중 정서지각, 정서이해, 정서조절 그리고 감성지능 전체에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실험집단의 유아가 감성지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정서의 사고촉진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발도르프 교육예술의 습식수채화 활동이 유아의 자기효능감을 발달시키며 색채를 통해 유아 자신의 내면의 움직임과 개개인의 감정을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는 감성교육의 가치 있는 한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Valdorf wet watercolor activity on infant s self-efficacy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 of infant s self-efficacy and emotional intelligence. Subject to the study were 20 5-year-old children from S Daycare Center in Y-gun, Gyeonggi-do, and 20 5-year-old children from J Day Care Center located in the same county.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December 6, 2018 to January 29, 2019, and data processing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4.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in the entire cognitive, social and emotional self-efficacy among the lower factors of self-efficacy, indicating that inf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higher self-efficacy.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ysical self-efficacy. However, among the lower 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throughout emotional intelligence, indicating that the inf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higher emotional intelligence.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rea of emotional thought promo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wet water-colouring activities in Valdorf s educational arts can be a valuable alternative to emotional education, which develops self-efficacy and can naturally express one s inner movements and individual feelings through color.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