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Educational Activities on Student Well-Being: from the Eudaimonic Perspectiv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윤주(Park, Youn Ju) 우명숙(Woo, Myung Su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4호, 1457~147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2.28

국문 초록
본 연구는 “feeling well”에 초점을 두는 헤도닉 관점보다 “doing well”의 추구를 통한 웰빙의 실천적인 면을 중시하는 유다이모닉 관점에 초점을 두었다. 유다이모닉 관점을 반영한 자기결정이론의 3대 핵심요소인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을 학생웰빙지표로 선정해 경기교육종단연구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학생웰빙의 영역별 순위는 관계성>자율성>유능성의 순으로 나타나, 관계성이 가장 높은 반면 유능성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왔다. 우리나라 학생들은 동료를 포함한 주변 사람들과의 유대는 높은 반면, 자기에 대한 자신감 등 역량에 대한 신뢰 수준이 상대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학생웰빙의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세 개 영역에서 학생이 인식한 학교의 교육활동과 관련한 교사의 사기 및 열의, 학교교육 만족도, 학교환경 만족도 등은 모두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의 성별이나 가구소득은 영역에 따라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특성화고는 일반고에 비해 학생의 웰빙 세 영역에 모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학교 운영기간은 자율성과 관계성 영역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유의미한 수준은 미미하게 나타났다. 학교교육활동 및 교육환경에 있어 질 제고는 학생 개인으로 하여금 자신의 삶을 통제하고 긍정적 기회를 선택할 수 있는 웰빙 역량을 향상시킴으로써 종국적으로 학생 웰빙 수준을 제고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dopted the eudaimonic perspective which focused on the practical side of well-being through “doing well” rather than the hedonic perspective valuing “feeling well”. Since the eudaimonic perspective had th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school education, this study analysed the three key components of self-determination theory based on eudaimonic perspective -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as student well-being indicators using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The important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edness was the highest while the autonomy was the lowest. It was analyzed that Korean students had a high bond with people around them, including colleagues, while their level of trust in competence, such as confidence in themselves, was relatively insufficient. Second, the school s educational activities, such as teacher morale and enthusiasm, school education satisfaction, and school environment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all three areas of student well-being: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The effects of students gender or household income differed depending on their area. Specialized high schools had a negative impact on all three areas of student well-being compared to general high schools. The period of operation of innovative schools had a positive impact in the areas of autonomy and relatedness even though the level of significance was 10% (0.1). It was analyzed that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activitie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contributes to improving the level of student well-being by enhancing the well-being ability of individuals to control their lives and choose positive opportun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