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Athletic Identity and Proactive Coping on Career Transition Adjustment in Judo College Athlet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홍승분(Seungbun H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4호, 1549~156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2.28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선수들의 은퇴 후 삶의 긍정적인 적응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대학 선수들의 운동선수 정체성과 주도적 대처능력이 진로변화의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9년 대한유도회에 등록된 대학 유도선수 257명을 대상으로 2019년 7월 15일부터 7월 26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4.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그리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대학 유도선수들의 운동선수정체성은 진로변화의 어려움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선수들의 주도적 대처는 진로변화의 어려움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운동선수 정체성과 주도적 대처능력이 높을수록 진로변화시 겪는 적응과정에 보다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judo student-athletes athletic identity and proactive coping ability affect their adaptation to career transition in order to suggest a plan for positive adaptation to life after retirement. Data was collected from July 15 to July 28, 2019 for a total of 257 Judo student athletes who actively registered with the Korea Judo Association in 2019.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using the SPSS 24.0 and AMOS 23.0 program. As a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the athlete identity of collegiate judo athletes had a negative (-) effect on the difficulty of career transi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proactive coping of student-athletes had a negative (-) effect on the difficulty of career transi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athlete s identity and proactive coping ability, the more positive they play a role in the adaptation process experienced during career transi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 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