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the Educational Meaning of Good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at Pre-service Teachers Think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철민(Chul-Min Kim) 문희수(Hee-Su M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4호, 1~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2.28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체육교사가 생각하는 좋은 체육수업의 교육적 의미를 분석하고 해석하여, 예비교사교육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는 00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5명(남:3, 여:2)을 선정하였다. 좋은 체육수업에 관한 예비교사의 다양한 생각을 탐색하기 위해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자료는 Spradley(1980)의 영역 분석과 분류 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예비교사들이 생각하는 좋은 체육수업은, 첫째, 학생들의 균형 잡힌 학습을 위한 교육과정과 연계성을 갖춘 수업, 둘째, 기본적인 운동기능을 학습할 수 있는 체계적인 지도가 이루어지는 수업, 셋째, 양적ㆍ질적 방법을 활용하여 신체활동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수업, 넷째, 교사와 학생 모두가 소통할 수 있는 수업, 다섯째, 학습내용을 일상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독려해주는 수업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연구결과와 기존의 좋은 체육수업 연구를 비교하여 공통점과 새로운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고 실천중심 예비교사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educational meaning through the recognition of good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at pre-service teachers think, and to present a new direction fo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5 pre-service teachers(male:3, female:2) receiving education at 00 Universit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explore the various thoughts of pre-service teachers about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analysis of this study applied the domain analysis and taxonomic analysis of Spradley(1980). There are five directions for good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at pre-service teachers think. First, classes that are connected with the curriculum for balanced learning of students, second, classes that provide systematic teaching to learn basic motor skills, third, classes that can evaluate the value of physical activity us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fourth, classes that both teachers and students can communicate, fifth, classes that encourages students to put their learning content into practice in everyday life. In the discussion and conclusion, the similarities and new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interpreted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he existing studies. And it suggested the practice-oriente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