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connection between science museum chemistry exhibits and 2015 revised chemistry curriculu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백은숙(Paik, Eun-Sook) 장원형(Jang, Wonhyeong) 홍훈기(Hong, Hun-Gi)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6호, 391~41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31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비형식 과학교육기관인 과학관의 전시물과 2015 개정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립과천과학관과 서울시립과학관의 화학영역 전시물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과학관을 현장 조사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 과학관 전시물과 2015 개정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은 과학교육을 전공하는 연구자 2인과 과학교육전문가 1인의 공동분석과 검토로 이루어졌으며, 교육과정 문서에서 제시된 성취기준, 탐구 활동 내용 및 성취기준 해설을 근거로 사용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들과 달리 전시물의 주제와 연결 지을 수 있는 3학년부터 12학년까지의 초·중등 과학과 교육과정 전 영역의 성취 기준과의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화학영역 전시물의 비율이 다른 영역에 비하여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학영역 전시물과 2015 개정 화학과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학관 관람객의 대부분이 초등학생인 것과 상반되게 과학관 전시물은 대부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과학관 전시물의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onnection between the exhibits of the Science Museum, a representative informal science education institution, a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o that end, the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and the Seoul Science Center’s exhibits in the chemical domain were selected for analysis, and the museum was investigated on-site to collect informati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science museum exhibits a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consisted of joint investigation and review by two researchers majoring in science education and one expert in science education and was used as the basis for the description of achievement criteria, exploration activities, and achievement criteria presented in the curriculum documents. Also, unlike previous studies, the link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science and the entire achievement criteria of the whole curriculum was analyzed, which can be connected to the theme of exhibit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proportion of chemical domain exhibits is lower than in other areas,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chemical domain exhibits a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s high. Besides, contrary to the fact that most of the visitors to the museum a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museum exhibits are analyzed to contain the contents elements of the high school curriculum, indicating the need for improvement of the museum exhibi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