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ticancer Activity of Extracts from Mistletoe Cultivated on Prunus mume
- 발행기관
- 한국자원식물학회
- 저자명
- 허정원(Heo, Jeong Won) 유수정(Yoo, Su Jung) 김수현(Kim, Soo Hyun) 박철호(Park, Cheol Ho)
- 간행물 정보
- 『한국자원식물학회 학술심포지엄』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85~85쪽, 전체 1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4.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국문 초록
인공재배한 매실나무겨우살이를 이용한 기능성 막걸리를 개발하기 위해, 겨우살이, 기장과 쌀을 활용하여 원료의 배합비율 및 발효방법에 따른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을 비교하였다. 최적의 배합비율을 찾기 위해 백미 100%, 백미와 기장 7:3, 5:5, 3:7 및 기장 100%의 비율로 막걸리를 제조하였다. 발효방법은 Shaking incubator($30{\sim}35^{\circ}C$ , 100 rpm, 19 days), Hand Shaking($21^{\circ}C$ , per 12hr, 19days)하였고, 발효가 끝난 막걸리는 80 mesh 망으로 여과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Machine shaking과 Hand shaking 모두 쌀과 기장의 비율 7:3에 겨우살이를 10% 첨가한 막걸리가 각각 $795.83{\mu}g/ml$ , $757.87{\mu}g/ml$ 로 가장 높았고, 기장 100% 막걸리가 각각 $503.73{\mu}g/ml$ , $435.3{\mu}g/ml$ 로 가장 낮았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Machine shaking, Hand shaking 모두 쌀과 기장의 비율이 7:3에 겨우살이를 10% 첨가한 막걸리가 $93.48{\mu}g/ml$ , $84.56{\mu}g/ml$ 로 가장 높았고, 기장 100% 막걸리가 각각 $37.75{\mu}g/ml$ , $21.86{\mu}g/ml$ 로 가장 낮았다.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겨우살이를 10% 첨가한 막걸 리가 가장 높았는데 Machine shaking은 평균 92.08%, Hand shaking은 평균 91.63%로 가장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Machine shaking은 쌀과 기장의 비율이 7:3일 때, 73.37%, Hand shaking은 기장 100% 막걸리가 64.03%로 가장 낮았다. 결론적으로,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기장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겨우살이를 첨가한 모든 막걸리에서 비교적 높았다. 발효방법은 Machine shaking이 Hand shaking 보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이 비교적 높아 발효방법으로 더 적합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