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ontent of Amino Acids, Free Sugars and Proximate Compositions from Undaria pinnatifida Sporophyll
- 발행기관
- 한국자원식물학회
- 저자명
- 진성우(Jin, Seong-Woo) 김경제(Kim, Kyung-Je) 고영우(Koh, Young-Woo) 임승빈(Im, Seung-Bin) 하늘이(Ha, Neul-I) 정희경(Jeong, Hee-Gyeong) 제해신(Je, Hae-Shin) 반승언(Ban, Seung-Eon) 정상욱(Jeong, Sang-Wook) 서경순(Seo, Kyoung-Sun)
- 간행물 정보
- 『한국자원식물학회 학술심포지엄』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77~77쪽, 전체 1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4.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국문 초록
미역은 갈조식물인 미역과에 속하는 1년생 바닷말로서 주로 어린 줄기와 잎부분을 식용으로 한다. 폐기부로 분류되는 미역귀 부분 또한 가식부 이상으로 풍부한 미네랄과 알긴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건강 친화적인 슬라이스 잼의 개발을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품 개발의 소재화를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미역귀 알긴산 추출, 알긴산의 항산화활성(DPPH, ABTS, SOD 유사활성, total polyphenol, 세포 독성, NO생성 억제능을 수행한 바는 아래와 같다. 미역귀 알긴산 추출물을 각각 10, 50, 100, $500{\mu}g/mL$ 의 농도로 처리한 시험구들의 전자공여능을 확인한 결과 각각 2.8, 27.5, 35.9, 43.4%로 나타났으며, ABTS 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4.2, 21.6, 33.4, 67.4%로 나타났다. 동일한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SOD 유사활성은 각각 9.2, 12.4, 23.2, 30.8%로 나타났다. 미역귀 알긴산 추출물의 total polyphenol은 $19.16{\pm}0.08mg%$ 로 확인되었다. 세포생존율은 10, 50, 100, $500{\mu}g/mL$ 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118.8%, 120.7%, 121.1%, 124.9%로 나타났다. NO생성 억제능을 동일한 농도에서 확인한 결과 각각 3.1, 5.1, 7.9, 9.6%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 미역귀 알긴산 추출물은 항산화능이 탁월하게 나타나 건강 친화적인 기능성 소재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