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2,4-D Treatment on the Callus Induction of 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
- 발행기관
- 한국자원식물학회
- 저자명
- 박민완(Park, Min Wan) 배기화(Bae, Kee Hwa)
- 간행물 정보
- 『한국자원식물학회 학술심포지엄』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32~32쪽, 전체 1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4.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한민국 매실나무 210점과 살구나무 9점의 꽃 구조 특성평가를 위하여 개체별 꽃 크기, 꽃잎의 수 및 크기를 조사하였다. 대한민국 전 지역에서 수집한 매실나무의 꽃 크기는 평균 지름 24.3mm이었고, 꽃 크기별 범위는 21~25mm가 150점(71.4%)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26~30mm(45점, 21.4%), 16~20mm(9점, 4.3%), 30mm 이상(5점, 2.4%), 15mm 이하(1점, 0.5%) 순이었다. 살구나무의 꽃 크기는 평균 지름 22.7mm이었고, 꽃 크기별 범위는 21~25mm가 7점(77.8%)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16~20mm 및 26~30mm가 각각 (1점, 11.1%) 순이었다. 매실나무의 꽃잎 모양은 원형이 112점(53.3%)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난형(51점, 24.3%), 타원형(47점, 22.4%) 순이었다. 살구나무의 꽃잎 모양은 원형이 6점(66.7%)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난형(2점, 22.2%), 타원형(1점, 11.1%) 순이었다. 매실나무의 꽃잎 수는 평균 9.2개이었고, 꽃잎 수별 범위는 5개가 138점(65.7%)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16~20개(31점, 14.8%), 21개 이상(20점, 9.5%), 5~10개(12개, 5.7%), 11~15개(9점, 4.3%) 순이었다. 살구나무의 꽃잎 수는 평균 5.1개이었고, 꽃잎 수별 범위는 5개가 8점(88,9%)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5~10개(1점, 11.1%) 순이었다.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