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teractive compensation effects of L1 reading comprehension and L2 language proficiency on L2 reading abil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소영(So Young Jeong) 엄철주(Chul Joo Uh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3호, 1319~133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2.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L2 읽기 능력을 이루는 제1 언어(L1) 읽기 이해력과 제2 언어(L2) 능숙도 간의 상호 보상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국내 중학교 EFL 학생 108 명을 대상으로 하여, L1 읽기 이해력과 L2 언어 능숙도의 수준에 따라 두 집단(상위, 하위)으로 나누어 2주 동안 연구가 진행되었다. 또한, 상호보상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L1 읽기 이해력과 L2 언어 능숙도는 L2 읽기 능력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으며, L1 읽기 이해력의 기여도가 더 컸다. 2) 높은 L1 읽기 이해력은 낮은 L2 언어 능숙도를 보상하고 그 반대의 경우도 같은 상호보상 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성공적인 L2 읽기 능력을 위해서는 높은 L2 언어 능숙도뿐 만 아니라 높은 L1 읽기 이해력도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interactive compensation effects of first language (L1) reading comprehension and second language (L2) proficiency on L2 reading ability. For this purpose, one hundred-eight Korean middle school EF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two-week-long study after preliminary surveys.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high, low)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ir L1 reading comprehension and L2 language proficiency.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prove the interactive compensation mode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L1 reading comprehension and L2 language proficiency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L2 reading ability and the contribution of L1 reading comprehension was greater. 2) High L1 reading comprehension compensates for low L2 language proficiency and vice versa. Therefore, to achieve successful L2 reading comprehension, high L1 reading ability as well as high L2 language proficiency is need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