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ifferences in the Use of Test-taking Strategies in English Part of the CSAT according to Their Status and Gender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신애(Kim, Shinae) 이제영(Lee, Je-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3호, 1145~116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2.0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수능 영어 영역 응시생의 성별(남, 여)과 신분(재학생, 재수생) 에 따라 시험치기 전략 사용에 차이가 존재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9 학년도 3월에 실시된 전국연합 학력평가에 응시한 학생 164명(고3 재학생 100명, 재수생 64명)을 대상으로 시험치기 전략 사용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험치기 전략 사용에 있어 모든 범주에서 성별에 따른 통계적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다. 둘째, 신분별 차이, 즉 재학생과 재수생의 시험 치기 전략 사용은 바꾸기 전략을 제외한 모든 범주에서 재수생의 전략 사용이 재학 생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더 많았다. 셋째, 이원배치 분산분석 결과 성별과 신분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험치기 전략 지도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 if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use of test-taking strategies depending on the gender (male, female) and applicant status (high school 3rd graders, CSAT re-taker) in the English section of the CSAT. In order to do so, 164 students (100 high school students and 64 CSAT retakers) who took the mock CSAT conducted in March 2019 were surveyed, and their test-taking strategy uses were analyzed.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gender-specific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use of test-taking strategies in all sub-categories. Second, the differences in statu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for the paraphrasing strategies. Third, a two-way ANOVA found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gender and statu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ions for test-taking strategy instruction and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