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peer compet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 and playfulness in young children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지영(Park Ji Young) 서의정(Seo Eui-Jung) 한상길(Han Sang-Kil)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3호, 743~75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2.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의 놀이성 및 또래유능성과 유아발달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놀이 성이 유아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또래유능성이 가지는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G지역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183명을 연구대상으로 예비조사, 본조사의 절차로 유아의 놀이성, 또래유능성과 유아발달에 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 석, 그리고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첫째, 유아의 놀이성과 유아발 달, 놀이성과 또래유능성, 또래유능성과 유아발달은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 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놀이성은 유아발달을 의미 있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이 과정에서 또래유능성이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유아발달을 돕는 데 놀이성과 또래유능성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었 고, 놀이성과 또래유능성을 강화하기 위한 놀이중심 프로그램 운영의 중요성을 제시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of peer competence on young children’ development and mediating effects of playful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competence and young children’ development. The Children’s Playfulness Scale(Kim, 1996), The Peer Competence Inventory for Young Children(Park & Lee, 2001) and The Young Children’ Development Questionnaire(Lee, 2013) were administered to 183 young children(95 boys, 88 girls, 5 year of ag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using the computer program, SPSS/PC 21.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peer competence, playfulness and young children’ development. Second, the young children’ playfulness has been shown to be a meaningful predictor of young children’ development, and in the process, peer abilities have a mediating effec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