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flection on physic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during the Covid-19 era and preparation for the futur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전영한(Jeon Young Ha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3호, 721~74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2.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Covid-19 시대 초등학교의 체육 수업을 반성해 보고 다가올 미래 초등 체육의 발전을 위해 우리가 무엇을 준비해 나가야 할 것인가?에 대한 것이다. 연구는 2020년 1월부터 10월까지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진행되었다. 연구에는 교육 전문가, 현직 교사, 학생, 학부모들이 참여하여 주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의 질을 담보할 수 있는 다양한 온라인 수업 콘텐츠를 만들어 교사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한다. 둘째, 온라인과 오프라인 수업 상황을 포괄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이를 실천해 나아가야 한다. 셋째, Contact와 Uncontact를 포괄할 수 있는 수업 방식을 개발하여 현장에 보급해야 한다. 넷째, 쌍방향 수업을 위한 과감한 시설, 기자재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변화된 시대 상황에 맞는 평가 가이드라인 설정과 평가 방법의 혁신을 준비해야 한다. 여섯 째, 변화된 환경 속에서 양질의 수업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교사 연수를 강화해야 한다. 일곱째, 민간 기업 및 유관 기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체육 수업을 개발해 보급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is about reflection on physic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during the Covid-19 era and what we should prepare for the development of physical education in the coming future. The study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step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rom January to October 2020. Education experts, current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make various online class contents that can guarantee the quality of education so that teachers can easily use them.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a curriculum that can contain both online and offline classroom situations.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lass method that can include contact and not contact and distribute it to the field. Fourth, bold investments in facilities and equipment should be made for interactive classes. Fif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evaluation guideline suitable for the changed times and to innovate the evaluation method. Sixth,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eacher training to provide quality instruction in a changed environment. Seven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distribute physical education classes using virtual reality and increased reality through joint research with private companies and related organiz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