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of Mathematics and Science of Korean Students through International Achievement Tes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현정(Kim, Hyunjung) 최인선(Choi, Inse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3호, 209~23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2.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제학업성취도를 통해 우리나라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과 과학 교수·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TIMSS 2015에서 수학, 과학, PISA 2012에서 수학, PISA 2015에서 과학의 학생 설문 문항에서 수학과 과학에서 공통적으로 묻고 있는 항목들을 중심으로 교수·학습 관련 변인을 학교급별로 뽑고, 성별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도록 결과를 재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교사의 지원에 대해 서는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으며, 초등학교에서 응답 평균이 가장 높았고 중학교에서 가장 낮았다. 둘째, 수학, 과학 과목 자체가 지닌 흥미와 관련된 요소는 인지하고 있었으나, 이것이 수업 시간의 학습 활동에 대한 흥미와 연결되지는 못했다. 셋째, 자신 감은 수학과 과학 모두 학년이 올라갈수록 하락하였으며, 여학생의 자신감이 남학생보다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넷째, 진로에서는 수학과 과학 모두 남학생들이 여학생 들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수학과 과학 모두 수업 분위기는 조용하고 학생들은 교사의 수업 활동에 관심은 기울이나, 이것이 흥미와 연결되지는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mathematics, science, and learning factor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and to draw up implications. To this end,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reanalyzed based on the survey items commonly presented in mathematics and science, so that the result of student survey in TIMSS 2015 mathematics and science, PISA 2012 mathematics and PISA 2015 science could compare variables related to classes and learning according to grade and gende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ere positive about teacher support, so the response rate was the highest in elementary schools and the lowest in middle schools. Second, we were aware of the factors related to the interests of the mathematics and science subjects themselves, but this was not linked to the interest in learning activities in lessons. Third, as the grade went up, confidence in both math and science fell, and female students confidence tended to be lower than male students. Fourth, both math and science were perceived more positively by boys than girls in their careers. Finally, both mathematics and science have a quiet classroom atmosphere and students pay attention to the teacher s teaching activities, but this has not been linked to interes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