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ire Hazards of a 9 Volt Battery in Case of Short-Circuit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하헌우(Ha, hun woo) 소수현(So, soo hyun) 이운근(Lee, un kun) 공하성(Kong, ha sung)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2권6호, 201~205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도체와의 접촉에 의해 단락 가능성이 높은 9 V 1차 전지와 2차 전지의 화재 발생 위험성을 실험적으로 살펴보았다. 실험을 위하여 일상생활에서 1차 및 2차 9 V 전지와 함께 방치 되었을 경우 단락 가능성이 높은 도체들을 시료로 선택하였고, 9V 전지와 시료가 단락되는 조건에서 시료에 1회용 종이 티슈를 접촉시켜 발화의 가능성을 실험하였다. 전지와 도체의 단락에 의해 화재가 발생하는 결과를 고찰하기 위해 이론적 저항 값을 도출하여 실험 결과와 이론적 저항 값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도체 시료 중 단면적이 적고 코일형으로 되어 있는 볼펜 스프링의 경우가 종이 티슈를 발화되었으며, 볼펜스프링과 같은 조건에서는 단락 시 열의 집중이 일어나기 용이하여 발화가 발생되는 것을 실험적으로 증명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riskiness of fire accidents on 9 V prim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was investigated experimentally, their batteries were likely to occur the short circuit with a conductor contact. For this experiment, conductors of which short circuit are probable if they are left with 9 V batteries were selected as samples. And the possibility of a fire was experimented by bringing samples in contact with tissue paper, assuming that the 9 V battery and a sample have in short circuit. To consider a fire accident by the short circuit of a battery and a conductor, the theoretical resistance was calculat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the theoretical resistance was studied. As a result, the sample(ball point pen s spring) of which length was the longest, cross-section was small and shape had a rolled like a coil was caught a fire. It is proved experimentally so the ball point pen s spring was likely to occur the concentration of heat that it was caught a fire.
목차
1. 서 론
2. 실험 개요
3. 실험 방법
4. 결과 및 고찰
5.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