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Wind Fragility Development for Roof Sheathing System of Light-Frame Wood Structure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함희정(Ham, Hee Jung) 이승수(Lee, Sungsu) 김호정(Kim, Ho-Jeong)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2권6호, 99~105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0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강풍 지역에 건설된 경량 목구조 건축물의 취약도 구축 방안이 연구되었다. 강풍 취약도를 구축하기 위하여 경량 목구조 건축물에 작용하는 풍하중과 지붕 쉬딩 시스템의 저항 성능이 비교되었다. 본 연구는 지붕 쉬딩 시스템에 대한 강풍 취약도 모형을 파악 가능한 쉬딩의 저항성능과 최근의 구축된 풍하중의 통계치 및 기준을 사용하여 개발하는 것에 목적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지리적으로 상이한 위치에 건설된 일반적 형태의 건축물에 대한 취약도를 몬테카를로 모사모형을 기반으로 연구하였으며, 강풍 취약도는 3가지 손상 정도를 고려하여 3초 돌풍의 함수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 기술한 취약도 평가방법은 강풍 지역에 건설된 경량 목구조 건축물에 대한 물리적 취약정도 및 경제적 피해 평가 방안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presents a fragility assessment for roof sheathing in light-frame wood constructions built in high wind regions. A fragility methodology is developed to assess the performance of roof sheathing subjected to wind-induced building pressure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fragility model for roof sheathing system using available resistance test data, recently developed wind load statistics and building code. A typical baseline building considering different geographic locations is investigated using a Mote Carlo simulation method. Fragilities of the baseline building considering three different levels of damages are developed as a function of 3 second gust wind speed. The fragility methodology described in this paper can be used to estimate physical vulnerability and financial loss of light-frame wood construction in high wind regions.
목차
1. 서 론
2. 강풍 취약도 모형의 이론적 배경
3. 경량 목조 건축물의 강풍 취약도 모형
4. 대상 건축물의 강풍 취약도
5. 결 론
감사의 글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