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외부감사법 개정 전후 비적정의견 비율 변화 및 감사의견에 대한 주가반응 변화 분석

이용수 149

영문명
An Analysis of Changes in Qualified Opinion and Information Contents of Audits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of External Audit Act
발행기관
한국회계정보학회
저자명
김희정(Kim, Hee-Jung) 최수미(Choi, Su-Mi)
간행물 정보
『재무와 회계정보저널』제20권 제4호, 109~13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회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외부감사인의 독립성 및 처벌을 강화한 2018년 11월 시행된 신외부감사법의 시행에 따라 실무에서 많은 변화를 초래하였다. 동법의 시행 효과를 다음과같이 검증하였다. [연구방법] 첫째, 외부감사인의 독립성 증가는 감사의견의 보수화로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둘째, 감사의견 공시에 대한 누적초과수익률의 반응을 살펴봄으로써 신외부감사법 시행이 정보유용성에 기여하였는지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신외감법시행 전에 비해 비적정의견 비중이 낮게 나타나 예상과반대의 결과로 나타났다. 따라서, 외부감사인의 독립성 증가 및 처벌을 강화하는 새로운 조항은 감사의견의 보수화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동법 시행에 대비한 기업들이 건전한 재무자료를 공시하고 있다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신외감법 시행이후 장기간이 경과하지 않아 아직 그 시행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을 수도 있어이는 향후 연구에서 장기간의 표본을 통하여 확인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신외감법시행 이후 회계이익의 정보효과가 높게 나타나 신외부감사법이 시행됨에 따라 자본시장에서 감사의견의 신뢰도를 높여 감사의견의 정보유용성이 높아졌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연구의 시사점] 신외감법 시행이후 회계정보의 정보효과가 높아졌다는 점은 회계정보의 유용성 향상에도 효과가 있다고 해석할 수 있어, 신외감법 시행의 효과성을검증했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resulted in many changes in practice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New External Audit Act, which strengthened the independence and punishment of external auditors. The effect of implementing the Act was verified as follows : [Methodology] First, it was expected that the increase in the independence of external auditors would result in the conservatism of audit opinion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External Audit Act contributed to the usefulness of information by examining the response of the cumulative abnormal-return rate to the disclosure of audit opinions. [Findings] First, the proportion of qualified opinions was lower than before the enforcement of the New Foreign Inspection Act, which resulted in the opposite of expected results. Thus, the new clause strengthening the independence and punishment of external auditors did not lead to the audit opinions conservative. It may be considered that companies are disclosing sound financial data in prepara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Act. Second,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New External Audit Act, the information effect of accounting profits has been high, so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ormation usefulness of audit opinions ha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audit opinions in the capital market. [Implications]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increase in the effectiveness of accounting information after the enforcement of the New External Audit Act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usefulness of accounting inform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가설 및 실증모형
Ⅳ. 연구방법
Ⅴ. 연구결과
Ⅵ.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희정(Kim, Hee-Jung),최수미(Choi, Su-Mi). (2020).외부감사법 개정 전후 비적정의견 비율 변화 및 감사의견에 대한 주가반응 변화 분석. 재무와 회계정보저널, 20 (4), 109-136

MLA

김희정(Kim, Hee-Jung),최수미(Choi, Su-Mi). "외부감사법 개정 전후 비적정의견 비율 변화 및 감사의견에 대한 주가반응 변화 분석." 재무와 회계정보저널, 20.4(2020): 109-136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