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ging Effect on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Measured by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n Korean
- 발행기관
- 대한검안학회
- 저자명
- 권용대(Yong Dae Kwon) 강신희(Shin Hee Kang)
- 간행물 정보
-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Vol.11 No.1, 7~14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30

국문 초록
목적: 정상 한국인에서 빛간섭단층촬영기로 측정한 시신경 유두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연령과 위치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3세에서 82세까지의 정상인 자원자 237명 470안을 대상으로 빛간섭단층촬영기를 이용하여 시신경 유두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를 측정하고, 측정 지점 각각에서의 연령 변화에 따른 두께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연령은 43.0세이고, 전체 대상의 망막신경섬유층의 평균 두께는 106.5±10.5μm였으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측정 위치별로 하이측에 해당하는 226∼246 지점이 연령증가와 가장 큰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연령대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감소는 30대의 8시 방향에서 가장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결론: 빛간섭단층촬영기로 측정한 한국인의 망막신경섬유층의 두께는 연령증가에 따라 하이측에서 상이측보다 급격한 감소를 보였고, 30대 연령대에서 가장 빠르게 망막신경섬유층의 두께가 감소되어, 녹내장을 포함하는 시신경 질환을 진단하거나 진행여부를 판단할 때 연령증가와 위치에 따른 의한 망막신경섬유층의 감소를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ipapillary retinal nerve fiber layer (RNFL) thickness measurements by time 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TD-OCT) in a normal Korean population and aging.
Methods: 470 eyes of 237 healthy Korean volunteers (age range 13∼82 years, mean age 43.0 years old) were enrolled in this clininical cross-sectional study. The peripapillary RNFL was measured by TD-OCT (Stratus OCT). The thickness of the peripallary RNFL was obtained at the 256 points of circular edge around the optic disc with diameter 3.4 mm. The relationship between peripapillary RNFL thickness and age was analyzed.
Results: The mean age was 42.95 years. The mean RNFL thickness of the healthy Korean people was 106.5±10.5μm.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in average RNFL thickness with increasing age. In the nasal quadrant, there was no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increasing age. At the scan points from 226 to 246 (8 o clock direction), the RNFL thickness was decreased with age significantly. Among age groups, thirties group was disclosed most decreasing rate at 8 o clock direction.
Conclusions: The RNFL thickness of normal Korean population appeared to decrease with increasing age especially in the inferotemporal and superotemporal portions. The property of RNFL thickness with a decreasing tendency of different degrees according to the area over time should be considered in diagnosis and follow up of glaucoma patient.
목차
서 론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