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eaching English articles: Addressing university students’ misconceptions
이용수 167
- 영문명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Kent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호, 1~2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1.30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한국 대학 EFL 학습자에 대한 시범 연구와 확정 및 무기명 기사에 대한 학습, 특히 단원이 끝난 후 학생들이 인식하고 깨닫는 어려움에 대해 보고합니다. 대학 수준의 기사로 그들의 인식과 어려움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3개의 대학 1학년 영어 수업에 기사에 대한 간단한 단원을 가르쳤습니다. 이 단원은 기사에 대한 전통적인 규칙 기반 또는 문법적 접근보다는 보다 상대적인 의미 범주와 패턴을 강조했습니다. 그리고 나서 학생들에게 간단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습니다. 조사 결과 학생들은 단원 내에서 논의되는 일반적인 어려움을 알고 있었고, 일부 학생들은 기사 패턴에 대한 이해와 오해의 차이를 깨닫게 되었습니다. 그러한 오해는 기사 시스템의 복잡성, 그리고 이전에 어떻게 가르쳐졌는가에 기인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다른 EFL 교사들에게 한국 학생들에게 기사를 가르치고, 그들의 특정한 어려움과 잠재적인 혼란 영역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reports on a pilot study of Korean college EFL learners and their learning of definite and indefinite articles, and specifically, the difficulties that students perceive and realize after the unit. To better understand their perceptions and difficulties with articles at the college level, a brief unit on articles was taught to three first-year college English classes. The unit emphasized more relatable semantic categories and patterns, rather than a traditional rule-based or overtly grammatical approach to articles. A brief survey was then administered to the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students were aware of general difficulties discussed in the unit, and some came to realize gaps in their understanding and misconceptions they had about article patterns. Such misconceptions were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article system, and to how they were previously taught. These results can help inform other EFL teachers in teaching articles to Korean students, and in understanding their specific difficulties and potential areas of confusion.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The Study
Ⅳ. Results
Ⅴ. Discussion
Ⅵ.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