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atisfaction Analysis of Instructors and Learners for Remote Video Lectur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보람(Cho bora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호, 401~42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1.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에서 실시된 원격화상강의에 대한 교수자 및 학습자 만족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K대학교 교수자와 학습자이며 개발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20년 6월 3일부터 6월 7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 강의내용에 대해 보통이상의 만족도를 나타냈다. 둘째,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 상호작용에 대해 보통이상이라고 응답했지만 교수자는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간의 의사소통수단 제공에 부족함을 느꼈다. 셋째, 교수자는 평가 및 과제에서 보통 이상의 만족도를 나타냈지만, 학습자는 과제에 대해 불만족 하였다. 넷째, 수업환경 및 관리에서 교수자는 보통이상이라고 응답했고 학습자는 화질, 음질, 네트워크 접속에서 불만족한 응답을 보였다. 다섯째, 전반적 만족도의 경우 교수자는 보통이상이라고 응답했고 학습자는 다소 불만족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원격화상강의에 대한 교수자 및 학습자의 만족도를 분석하고 효과적인 수업설계 및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atisfaction of instructors and learners for remote video lectures conducted in universiti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K University professors and learners,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3 to June 7, 2020 using the developed questionnaire. SPSS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instructors and learners showed more than average satisfaction with the lecture contents. Second, both the instructor and the learner answered that the interaction was above average, but the instructor felt that it was insufficient to provide a means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instructor and the learner and the learner and the learner. Third, the instructor showed more than average satisfaction in the evaluation and assignment, but the learner was dissatisfied with the assignment. Fourth, in the classroom environment and management, the instructor responded that it was above average, and the learner was dissatisfied with the quality, sound quality, and network access. Fifth, in the case of overall satisfaction, the instructor answered that it was above average, and the learner was somewhat dissatisfied.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analyzed the satisfaction of instructors and learners for remote video lectures for college students, and suggested implications for effective instruction design and operation through thi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