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ost COVID-19,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Online Physic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현규(Choi Hyun-Kyu) 조순묵(Cho Soon-Moo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호, 535~56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1.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해 변화된 온라인 체육교육의 실태와 교사들의 인식에 대하여 알아보고 체육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네이버 폼을 이용하여 초·중등 교사 210명의 설문을 실시하고, 이를 SPSS 25.0을 활용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온라인체육수업을 e학습터를 사용하는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으로 유튜브 등을 활용한 건강영역의 홈트레이닝 형태로 많이 하고 있다. 둘째, 원활한 수업자료 공유를 온라인체육수업의 장점으로, 신체활동 부족을 단점으로 인식하고 있다. 셋째, 학생관리와 수업 참여 독려를 어려워하며, 차시별 콘텐츠 및 학습자료를 지원받기 원하고, 체육수업에 알맞은 플랫폼 개발을 필요로 한다고 인식하였다. 코로나19로 인한 변화로 체육교육은 새로운 길을 걸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체육교육은 온라인 수업에 적합한 플랫폼을 개발하여 보급하여야 한다. 또한 각 학년에서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할 핵심 교육과정을 정할 필요가 있으며 학습공동체를 활성화하고 새로운 시대에 걸맞는 교사의 역할에 대해 고민할 필요성이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bout the status of online physical education and teachers  perception that has changed due to Covid-19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physic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survey of 210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was conducted using Naver Form and cross analysis were performed through SPSS 25.0 progra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 survey on online physical education, many teachers used content-based classes and ‘e-haksoupter’. Teachers are conducting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the form of home training in health areas using video-clip made by civilian, including YouTube. The advantage of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 is the smooth sharing of class materials and the disadvantage is the lack of physical activity among students. Teachers find it difficult to manage students and encourage them to participate in classes. they want to receive support for class content and learning materials for each class. Teachers recognized the need to develop platforms suitable for physical education classes. With the change caused by Covid-19, physical education must take a new way to go. for this purpose physical education should develop and disseminate platforms suitable for online classes.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 core curriculum that must be completed in each school grade. There is a need to boost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nd think about the role of teachers in line with the new era.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온라인 체육수업의 실태 및 인식
	                       
	                          Ⅴ. 체육교육의 발전 방향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