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Study on Experience of Students at Risk for School Dropout on Alternative Education: Centering on Cultural and Art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주혜(Lee Ju Hye) 김명인(Kim Myeong In) 박성옥(Park Sung Ou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호, 1273~130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1.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중단 위기청소년이 대안 교육으로써의 문화예술교육활동을 통해 무엇을 경험하고 그 경험은 어떤 의미를 주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해 Stake(1955)가 제안한 분석과 해석방법을 기반으로 학업중단 위기에 놓인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활동 경험과 그 의미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질적 사례 연구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S시 관내 중 · 고등학교 전문상담교사가 선별한 학업중단 위기 위험 군에 속하는 학생과 청소년 복지센터 ‘꿈드림’ 소속 청소년 중, 문화예술교육활동에 자발적으로 지원하여 활동한 1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기간은 2019년 8월 20일부터 11월 4일까지 11주 동안 주 3회 매 회 4∼5시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학업중단 위기 청소년이 문화예술교육활동을 통해 ‘자신감 회복’ ‘자기효능감의 변화’ ‘자존감 증진’ ‘새로운 대인관계’ ‘의사소통능력 향상’ ‘성취감’ ‘학업 동기’ ’미래 기대’ ‘자기 치유’를 경험하고, 경험의 의미로는 ‘내적자원 발견’ ‘잠재성의 인식’ ‘사회성 향상’ ‘자기, 타인 존중’ ‘능동적 태도의 변화’가 도출되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대안 교육으로써 문화예술교육활동의 의의, 교육 현장의 제도개선과 대처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students at risk for school dropout experience through cultural and art education activities as alternative education and what the meaning of those experiences is.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significance of alternative education regarding school dropout prevention. The researchers conducted a study on 1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t risk for school dropout, grounding on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method that Stake(1955) propos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tudents at risk, who was selected by professional counselors in schools in the S city, and adolescents in the youth welfare center Kkumdream and voluntarily participated in cultural and art education activities. The study duration was 11 weeks in total, from August 20 to November 4, 2019; 3 times a week, 4-5 hours each. Per the results, the students went through cultural and art education activities experienced restoration of confidence, change in self-efficacy, improved self-esteem, novel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mproved communication skills, sense of achievement, academic motivation, expecting the future, self-curing. Regarding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students experienced discovery of internal resources, recognition of prospects in themselves, improved sociability, respecting themselves and others , and active changes in attitude.‘ Based on this study, we discussed the significance of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activities as an alternative education for the prevention of academic interruption, and ways to improve and cope with the system of educational sit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