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ction research on class management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co-teachers in the infant classroo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나인주(Na, In Ju) 진명희(Jin, Meong H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호, 1481~151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1.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아반 복수 담임 간 협력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실행을 함으로써 영아반 학급운영의 개선과 교사의 변화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20년 2월부터 8월까지 6개월간 수행되었으며, 연구 참여자는 만 1세 반 어린이집 교사 2명이다. 복수 담임 간 협력의 문제점을 진단한 결과, 두 교사 간 의사소통의 부족과 학급운영을 위한 공동의 계획이나 협의없이 분리된 공간처럼 운영되고 있었다. 복수담임 간 협력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두 교사는 학급의 공동 운영을 위해 협의회를 구성하고, 교사역할에 대한 반성적 사고과정과 전문적 지식을 함께 공유하고, 교실 환경과 자유놀이 시간의 교사역할을 개선하는 과정을 실행하였다. 영아반 복수담임 간 협력적 학급 운영의 결과, 두 교사는 공동 교육계획과 공동의 목표를 세우게 되었으며, 반성적 사고를 통해 교실의 놀이 환경을 개선하고 영아 놀이 지원을 위한 교사 역할이 변화되었다. 또한 복수 담임 간 협력과정에서 두 교사는 상호 의사소통과 역할 분담이 이루어졌으나 두 교사 간 역할의 불균형은 아직 남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복수 담임 간 협력을 지원하기 위한 교사 교육과 기관 내 시스템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rocess of class management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co-teachers in the infant classroom. The researcher is one of the co-teachers and conducted action research with co-teachers to change the collaboration between two teachers.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r six months from February to Augus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blem for collaboration between two teachers had diagnosed the lack of opportunity for communication and co-planning for infant class management. To solve the problem of collaboration, co-teachers held conferences regularly, twice per month, and the teachers had opportunities for reflective thinking to improve their teaching practice and play environment of the classroom for infants’ play. Second, as a result of the collaboration between co-teachers, the teachers set the common goal for their classroom management and changed the play environment for infant play. The teachers also changed their role to support infants’ autonomous play through reflective thought based on observation of play. In addition, the teachers showed autonomy in planning and conducting their teaching practice escaping from the criteria of evaluation at the level of the nation. The two teachers improved the chance to communicate with their colleagues during the conference and committed their role alternatively with their co-teachers but there was an unbalanced difference in playing a role between two teachers in the infant classroom. This study implies that the cooperative system within the daycare center is needed to support co-teachers in infant classrooms to improve teachers’ profession and infant pla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