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Intercrops on Growth and Yield of Fritizzaria thunbergii MIQ
- 발행기관
- 한국자원식물학회
- 저자명
- 김인재(In-Jae Kim) 김민자(Min-Ja Kim) 남상영(Sang-Young Nam) 이철희(Cheol-Hee Lee) 김홍식(Hong-Si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제18권 제1호, 64~70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2.28

국문 초록
부존자원의 최대생산과 농경지 활용 극대화를 위해 패모에 참깨, 들깨, 열무, 홍화 등 간작물을 도입하여 2001년부터 2003년까지 3년에 걸쳐 시험한 바, 패모의 간작물로 도입 된 홍화, 들깨, 참깨, 열무 등은 패모 생육에 지장 없이 재배가 가능하였으며, 작부 유형에 따른 패모의 지상부 생육은 차이가 미미하였으나, 지하부 수량은 단작에서 많았다. 소득은 패모 단작에 비하여 패모+열무와 패모+홍화+들깨의 작부유형에서 각각 45%, 35% 증대되었다.
영문 초록
This experiment on intercropping system of Fritillaria thunbergii MIQ, using safflower, young radish, sesame, and periller as intercrops, had been carried out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natural resources to the fullest and to use farm land most efficiently for 3 years from 2001 to 2003. Every intercrop could be grown up without any harmful effect on the growth of Fritillaria thunbergii MIQ.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bulb yield plant of Fritillaria thunbergii MIQ. per among intercropping systems, but there was more bulb yield per the unit area in single cropping than in intercropping system. The income of cropping system containing Fritillaria thunbergii MIQ. was higher 45% and 35% in Fritillaria thunbergii MIQ.+young radish and Fritillaria thunbergii MIQ.+safflower+perilla than in Fritillaria thunbergii MIQ. mono-crop system respectively.
목차
서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요
인용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