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Support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in Academic Prob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소미(Jeong, Somi)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호, 547~56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1.0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사경고자를 대상으로 실시된 지원 프로그램의 효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사경고 관련 국내 수행 연구 8편을 선정하고, 메타분석을 통해 각 연구에 포함된 변인들을 중심으로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또한, 학사경고자를 대상으로 한 지원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와 주요 변인(출판유형, 프로그램 개입 영역, 프로그램의 효과 영역, 프로그램 운영 형태, 대상, 통제집단 유무, 회기 수, 인원)을 중심으로 효과크기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사경고자를 대상으로 하는 지원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0.4112로 나타났다. 둘째, 학사경고자를 대상으로 하는 지원 프로그램 관련 변인의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학술지에 게재되었을 때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개입 영역에서는 동기강화를 주제로 하였을 때, 프로그램 효과 영역에서는 시험 불안의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운영 형태에서는 교수학습센터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 프로그램 대상에서는 학사경고 2회 누적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경우의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집단이 있을 때 효과크기가 더 컸으며, 프로그램의 회기는 10회기 미만의 회기 구성일 때, 프로그램 참여인원은 31명일 때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학사경고자 대상 지원 프로그램의 효과 메타분석 결과에 대해서 논의하고 학사경고자를 대상으로 한 지원에 시사하는 바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sively consider the effects of the support program conducted for college students in academic probation. To this end, 8 related studies conducted in Korea were selected, and the effect sizes of various variables included in each study were calculated using meta-analysis method. Also,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support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in academic probation and the effect size of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main variables(publishment type, program intervention area, program effect area, program operation type, subjects, control group presence, number of sessions, number of people) were deriv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in academic probation was -0.4112.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size centering on the main variables to examine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in academic probation,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size was large when published in a journal. In the area of program intervention, the effect size was large for the topic of motivational interviewing. Also, in the program effect area, the effect size was large for the test anxiety. In the form of program operation, the program operated by the teaching and learning center was found to have a large effect size, and in the subjects of program, the effect size of the program for the students in academic probation accumulated twice was large. The group with the control group was found to have a larger effect size. When it was less than 10 sessions, when the number of participants was 31, the effect size was large. Lastly, we discuss the results of the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rough this study, and the implications of support for college students in academic probation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