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ructural Analysis of Gender among Adult Attachment, deliberate rumination, Dating Violence for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옥형(Jo, Ok Hyung) 김춘경(Kim, Choon Ky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호, 951~97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1.0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지각한 성인 애착, 의도적 반추가 데이트폭력 가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변인 간 관련성을 성별에 따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9년 9월 10일에서 11월 5일 동안 대구·경북에 거주하는 대학생 459명을 대상으로 성인 애착, 의도적 반추, 데이트폭력 가해 행동 도구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결과를 토대로 AMO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도적 반추와 정서적 가해 행동과 신체적 가해 행동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해 더 높은 수준의 의도적 반추와 정서적 가해 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더 높은 수준의 신체적 가해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도적 반추가 심리적 가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여학생의 의도적 반추는 남학생보다 정서적 가해 행동을 더욱 감소시키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여학생의 의도적 반추를 높이기 위한 정책적 접근이 이루어진다면 그들의 정서적 가해 행동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study’s purpose is to examine how adult attachment, deliberate rumination affect dating violencee and how these variables were related to university students gender.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from 459 college students residing in Daegu and Gyeongbuk from September 10 to November 5, 2019 using tools for adult attachment, deliberate ruminance and dating violence. Based on the collected data,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verified at a significance level of .05 using the Amos 18.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adult attachment, physical violence and emotional violence ha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depending on university students gender. Specifically, female college students appear to exhibit higher levels of deliberate rumination and emotional violence than male college students. However, male students showed higher levels of physical violence than female students. Second, the influence of deliberate rumination and emotional violence showed difference depending on university students gender.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deliberate rumination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is an important factor in reducing emotional violence behavior more than male university students. Therefore, if a policy approach is taken to increase the deliberate rumination of female students, it can play a role in efectively reducing their emotional violenc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