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Disability-related Contents Represented in Social Studies Textbook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주희(Cho, Jooh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호, 1169~119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1.0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07년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과 2017년 「장애인 차별금지 및 권리구제에 관한 법률」이 시행된 이후, 통합교육 환경에서 사용되고 있는 사회과 교과서의 장애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장애가 재현되는 방식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이 반영된 중학교와 고등학교 사회과 교과서 17권에서 장애 관련 자료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교과서에서 추출된 96개의 분석단위에 대한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과정은 분석 도서 선정, 분석요소 도출, 삼각검증을 통한 범주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사회과 교과서에서 재현된 장애 관련 내용 분석 결과는 장애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와 부정적인 이미지로 나누어진다. 장애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는 1) 장애 차별적인 용어와 어조 2) 장애에 대한 개인적이고 비극적인 관점 3) 강한 장애인에 대한 고정관념으로 나타난다. 장애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는 1) 다양성의 한 부분으로서의 장애 2) 반장애차별적인 내용으로 제시된다. 본 연구는 사회과 교과서에서 재현된 장애의 이미지가 통합교육에 좋은 사례를 포함하고 있지만, 여전히 장애 차별적인 내용이 전달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과 교과서가 장애에 대한 고정관념을 재생산하고 있으며, 장애인의 현실을 반영하는 지식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isability-related content and discuss how disabilities are represented in social studies textbooks used in inclusive education after the enforcement of the Special Education Act and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This study selected disability-related materials from 17 middle and high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that reflect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research process consists of selecting books for analysis, deriving the components of analysis, and formng categories through triangulation. Th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96 analysis units taken from textbooks. This study presents the methods of how disabilities are depicted in textbooks by dividing them into the categories of positive and negative representations. Negative representations of disabilities are discriminatory terms and tones against disabilities, personal and tragic perspectives towards disabilities, and strong stereotypes against people with disabilities. On the other hand, positive representations of disabilities are disabilities as a part of diversity and non-discriminatory materials on disabilities. Through this study, it was verified that, although representations of disabilities in social studies textbooks include cases helpful for inclusive education, discriminatory contents against disabilities are still deliver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social studies textbooks do not only regenerate stereotypes on disabilities; they are also unable to properly convey knowledge that reflects the realities of disabled people.
목차
Ⅰ. 문제제기
Ⅱ. 이론적 배경
Ⅲ. 사회과 교과서의 장애 재현 분석 방법
Ⅳ. 분석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