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ction Research on Child-led Circle Tim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민희(Kim, Min Hui) 심향분(Shim, Hyang Boon) 정가윤(Chung, Kayo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호, 1335~136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1.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만 5세반 교사가 유아주도 이야기나누기를 구현하기 위해 반성적 사고과정을 통해 교사의 역할을 탐구하는 실행연구이다. 교사의 반성적 사고과정을 통해 발문 내용에 집중하고 불필요한 발문을 줄이는 2차 실행을 통하여 유아주도 이야기나누기가 구현되기 시작하면서, 교사의 역할 변화를 발견하였다. 교사 자신의 태도 변화가 첫 역할 변화였다. 교사가 주도하려는 욕구를 내려놓고 유아들을 따르고자 하였다. 두 번째로 교사는 유아들이 자신의 사전경험과 연계하여 자유롭게 이야기도록 하였다. 연계가 이루어지자 유아들의 자발적인 이야기가 많아졌고 교사는 유아의 이야기에 궁금증을 가졌다. 세 번째로 교사도 이야기 나누기에 적극적 참여자였지만 이야기 주제를 이끌어가기보다 유아의 이야기를 듣고 반응하며 기록하는 역할을 하였다. 네 번째는 교사 자신이 진행한 이야기나누기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기록하는 것이었다. 자신이 교사로서 무엇을 했는지의 기록이 아닌 유아들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는 기록이었다. 이 과정을 통해 이야기나누기에 대한 관점이 변화할 수 있었고 유아 주도 이야기나누기의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ction research exploring teachers roles in embodying the child-led circle time through the reflective thinking process in 5-year-old class. It discovered changes in their roles, as the child-led circle time began to be embodied, through the second action in which they concentrated on the contents of epilogues and reduced unnecessary parts of them through their reflective thinking processes. The changes in their own attitudes were the first ones in their roles. Teachers suppressed their desire to lead circle time and intended to follow infants will. Second, teachers allowed infants to freely tell certain stories linked to their previous experiences. As such a link was achieved, infants spontaneous stories were increased and teachers came to have some questions about the stories. Third, although teachers also actively participated in circle time, their roles were to listen and respond to, and record infants stories, rather than to lead the themes of stories. Fourth, teachers continuously recorded circle time led by them. In other words, they did not record what they did as teachers, but what infants did. In doing so, their perspectives on circle time might be changed and could find the significance of child-led circle tim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